난항을 겪던 인천대 차기 총장 선출이 분기점을 맞고 있다. 학내 구성원들로 구성된 정책평가단에게 투표 전권이 주어지는 방안이 유력해지면서 실타래가 풀릴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인천대 차기 총장 선출은 9월14일 재선거가 결정된 이후 한 걸음도 나가지 못하고 있다. 총장추천위원회 15명의 위원 중 13명이 사퇴했지만 2명은 거부했다. 기존 추천위를 유지하면서 사퇴한 13명을 다시 뽑을지, 해체 후 재구성할지 여부조차 결정되지 않아 총장 공백 장기화가 우려된다는 시각이 제기됐다.

이런 가운데 대학 측은 정책평가단의 투표점수를 100% 반영해 총장 후보를 선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교수를 비롯한 구성원 대다수가 찬성하고 있어 매우 유력한 상태다. 기존에는 정책평가단 투표점수(75%)와 총장추천위원회 평가점수(25%)를 합산해 1∼3위 후보를 정했다. '정책평가단 100% 반영안'이 현실화되면 재선거에 박차를 가할 수 있다.

문제는 정책평가단 구성비율이다. 정책평가단은 교수•직원•조교•학생•동문 등으로 구성되는데 참여비율은 교수 70%, 직원 14%, 학생 9%, 조교 6%, 동문 1%다. 하지만 직원•조교•학생 등은 지난 선거 때부터 자신들의 참여 폭이 확대돼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구체적으로 교수 49%, 직원•조교•학생 50%, 동문 1% 안을 제시한 바 있다. 교수가 560명인 반면 직원 260명, 조교 130명, 학생 1만2000명에 달하는 상황을 감안해야 한다며 기존 룰을 '교수들의 독단적이며 일방적인 총장 선출방식'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교수들은 '같은 구성원이기는 하나 학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다르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양시양비론을 떠나 객관적 관점에서 판단하면 교수들이 양보해야 한다. 교수가 사실상 총장 선출권을 가지면 대학의 자율성과 민주성, 성장성은 제약받게 된다. 총장후보자의 총체적 능력이 아닌, 교수들의 파벌과 교내정치에 따라 총장이 결정되는 경우를 무수히 봐왔기에 하는 말이다. 총장선출 과정에 구성원이 적정한 비율의 권리를 가지는 것은 보장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