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상의 조사분석에 따르면 인천지역 제조업체의 내년 1·4분기 기업경기 실사지수(BSI)는 99로 올 4·4분기 88보다 훨씬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지역 제조업체들도 그때쯤이면 불황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지역 주력업종인 조립금속, 자동차 업종을 비롯하여 섬유제품, 통신장비 등을 중심으로 당초 예상보다 빨리 회복세가 가시화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런 전망이 그대로 현실로 나타난다면 밑바닥에서 헤매고 있는 인천지역 경제에는 그보다 다행한 일이 없다.

 그러나 상황을 단적으로 낙관하기에는 아직 이르다. 기업경기실사지수가 높아진 것은 기본적으로 한국경제에 대한 앞날이 밝아진데서 오는 현상이다. 말하자면 인천에서 기업하기가 좋아져 당국의 지원이 두드러져 지수가 올라간게 아니라 동반상승한 셈이다. 정부가 내년중 한자릿수 금리를 예고하고 낙관적인 경제전망을 잇따라 내놓는 것도 우리 경제에 일단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현상이라 하겠다.

 문제는 인천경제의 실상이다. IMF체제 하에서 지방정부의 소극적인 정책으로 지역경제는 위축될대로 위축됐다. 시세 진흥에 절대적으로 기여한 유수한 제조업체들이 하나 둘씩 타지역으로 빠져나가 산업의 공동화가 우려되더니 환란 이후로는 도산 사태가, 그것도 토착기업을 중심으로 발생했다. 부도에 따른 신용경색현상도 빚어지기 시작한지 오래다. 특히 지방은행인 경기은행 퇴출은 지역경제인들에게는 청천벽력이었다. 물론 부실경영이 지적돼 왔지만 경기은행이 인천·경기지역 경제에 미친 영향이 절대적이었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국내외 여건이 호전되면서 경기가 바닥권에서 탈출할 조짐이 보인다 해도 이를 수용할 준비가 안돼 있으면 그 효과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지방정부는 무작정 좋아만 하고 있을게 아니라 이제야 말로 제도 관행개선에 힘써야 할 때다. 그리고 자금배분 및 흐름 경로도 어딘가 막혀있는데가 없는지 점검해야 할 것이다. 시중의 넉넉한 돈 사정이 중소기업에겐 그림의 떡이라면 그건 분명 잘못된 현상이다. 대기업은 돈이 넘치고 중소기업엔 돈가뭄이 들지 않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