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 개발 방식 쫒지말고 근대문화 활용한 주거환경 조성을

도시 소멸 현상은 농어촌부터 시작해 외곽 도시들을 넘어 이젠 수도권에서도 확인된다. 인천 동구는 올해부터 '도시 소멸 위기 지역'으로 이름을 올리게 됐다.

학계에선 노인 인구(65세 이상) 대비 가임여성 인구(20~39세) 비율로 측정하는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으로 떨어지면 소멸 위기에 진입한 도시로 분류한다. 동구 경우 지난달 65세 이상 인구는 1만4195명인데 반해 20~39세 여성 인구는 6394명 정도다. 소멸위험지수로 따지면 0.45다. 작년 10월만 해도 0.503으로 겨우 턱걸이로 버티다가 올해 노인 인구가 계속 늘고, 젊은 여성 인구는 줄어들면서 불명예를 안았다.

'저출산 도시 동구', '고령화 도시 동구' 꼬리표 뒤엔 언제나 20·30·40대 인구 절벽 문제가 있다. '제조업 벨트'가 쇠퇴하면서 가팔라진 핵심 세대 유출은 동구 세수 감소와 재정 열악에 이어 도시 소멸로까지 치달을 수 있다.

동구 인구 하락이라는 난제를 지역에서 공유한 지도 벌써 십수 년. 인천지역 도시 전문가들에게 “현 시점에서 동구가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해 물었다. 전문가 대부분 인천시나 지자체 등에서 해결 적극성만 높여도 돌파구가 있을 거라고 조언했다. 일자리 회복, 교통·교육 환경 개선과 함께 기존 전통 인프라 활용에 특히 관심을 둬야 한다는 설명이다.

한국도시행정학회 회장이자 인천대 도시행정학과 서종국 교수는 “일자리도 부족한데 교통·교육 등과 같은 거주 환경 인프라가 없으니까 동구 인구는 줄 수밖에 없다. 더군다나 주변에 신도시가 생기다 보니 상대적으로 인구 유출이 두드러진다. 주거 환경에 대한 획기적인 개선안이 있었으면 모르겠지만 동구에선 획기적인 개선을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매력적인 주거 환경 조성을 위해 획기적인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동구 재생을 위한 획기적인 것'과 관련해 서 교수가 내놓는 방안은 전통 요소 활용이다.

그는 “신도시와 같은 도시개발은 동구에게 어울리지 않는다. 한 예로, 동구 근현대건축물들을 활용하는 방안이 있다. 최근 허물어진 신일철공소 등을 무조건 허물지 말고, 문화가 숨 쉬는 주거 환경으로 재탄생했으면 어땠을까. 동구는 활용할 수 있는 전통적 요소가 많은 곳이다. 이것을 스스로 상실하지 말고 잘 발굴해 도시 개발에 활용하는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헌집 허물고 새집 짓는 신도시 방식을 쫒을 필요가 없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3면

/이주영·김원진·이창욱·이아진 기자 leejy96@incheonilbo.com



관련기사
[동구, 텅 빈 젊음 위협받는 생존] “5년만 청년정책 '올인'한다면 전환점 맞을 것” 30년 넘게 인천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꿰뚫으며 연구에 전념한 김용하(68) 박사에게 동구의 현주소를 물었다. 도시 및 건축 연구가인 그는 인천시 도시계획상임기획단장과 인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으로 일하며 인천의 도시계획·근대건축을 연구했다.김 박사는 “요즘 동구의 도시 개발을 살피면 이곳만의 역사성과 상징성을 고려하지 않고 송도국제도시처럼 신도시화 개념으로 접근하려는 것 같다”며 “동구는 송도국제도시와 다른 만큼 그에 걸맞은 도시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동구의 특색을 살려 조금만 관심을 갖고 개발을 한다면 역사가 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