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주기 월미도 원주민 희생 위령제
미 포격 희생 민간인 100명 혼 위로
▲ 월미도 주민이 미해병대에게 지형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국사편찬위원회

 

“1950년 9월10일 이후 월미도에 살았던 원주민 모두가 고향에 돌아가길 간절히 원하고 바라왔습니다. 귀향하기 위한 이들의 염원에 함께 힘을 모아주십시오.”

지난 10일 인천 중구 월미공원 전통공원지구에서는 '70주기 인천상륙작전 월미도 원주민 희생 위령제'가 열렸다. 70년 전 이날 월미도에 떨어진 미 해병대항공단 포격으로 희생된 민간인 100여명을 기억하고 위로하는 자리다.

한인덕 월미도귀향대책위원회 위원장은 살아남은 이들의 영원한 바람인 '귀향'을 다시금 강조했다. 한 위원장은 “월미도 원주민들은 지금껏 국민의 생명·재산을 지키며 보호해야 하는 국가의 의무 대상에 포함되지 못했다. 소중한 가족·이웃의 생명을 잃은 데다 행복하게 고향에서 살 권리조차 잃었다”며 “원주민들의 뼈아픈 과제인 귀향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이들이 위령제를 지낸 것은 2007년부터다.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를 통해 2008년에서야 정부로부터 민간인 학살 사건으로 처음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이전까지 한국전쟁 전세를 뒤집은 역사적 사건, 인천상륙작전에 따른 민간인 학살이 인정받은 사례는 없었다.

1950년 인천상륙작전 닷새 전인 9월10일 미군은 선행 작전으로 월미도 전역에 네이팜탄 95개를 투하했다. 주민들이 밀집해있는 마을 한가운데를 비롯해 월미도 동쪽에 무차별 폭격이 이뤄지며 다수의 민간인 희생자가 발생했다. 여기서 생존한 가족 등에 의해 신원이 확인된 이들은 고작 10명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당시를 겨우 기억하는 목격자 증언으로만 짐작되는 경우들이다. 이후 원주민들은 월미도가 군사기지로 쓰이며 고향을 강제로 떠나야만 했는데, 기록상으론 1952년부터 월미도 귀향을 요청하며 꾸준히 민간인 학살 사건 진상 규명을 요청해왔던 걸로 알려진다.

과거사위는 보고서에서 “월미도가 인천상륙작전의 성패의 핵심 지역이 되면서 주민들은 민간인 규범에 의한 보호를 받지 못하고 전쟁의 혹독한 피해를 입었다. 군사기지가 되면서 이후에도 유족, 거주민은 50년 넘도록 고향으로 되돌아가지 못하는 고통을 겪고 있다”며 “본 사건에 대해 한·미 정부가 공동조사에 나서 공동 책임 등 적절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한다”고 결론 내렸다.

하지만 과거사위의 권고 결정에도 이후 미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에 대한 추가 조사를 비롯해 귀향 방안 등 후속책은 마련되지 않았다. 인천에서는 올해서야 귀향지원 조례가 제정되며, 월미도 학살 피해자·희생자로 인정받은 이들에 한해 생활지원금 25만원이 매달 지원되는 중이다.

월미도 학살과 같이 최소한 기록을 통해 확인된 한국전쟁 민간인 피해자에 대해서는 정부 차원의 추가 배상 조치가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안병배(민·중구1) 시의원은 “월미도에 공원이 조성되면서 귀향하고자 하는 원주민들의 소원을 풀기는 어렵게 됐으나 이들이 학살 피해 유족으로 겪은 고통·아픔에 대해서는 법적인 배상을 받아야 한다고 본다”며 “내년에 월미도 내에 민간인 학살에 대해 기록한 위령비를 세우는 것을 시작으로 이들을 위한 후속 대책 마련을 위해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은희 기자 haru@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