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문일 논설위원

최루탄이 난무하는 속에서도 시위대 투쟁엔 거침이 없었다. '전두환 정권' 타도를 외치며 '민주화'를 요구하는 집회는 들불처럼 번져나갔다. 투석과 화염병에 맞서 경찰은 최루탄을 무차별적으로 발사했다. 쏴도 너무 쏴대는 매운 최루탄으로 인해 취재는커녕 한몸 가누기도 힘들었다. 주요 도로와 골목마다 매캐한 연기로 휩싸였다. 마치 아수라장을 방불케 했다. 다양한 운동권을 비롯해 노동자와 학생 등 수만명이 참가한 시위는 한동안 불거지면서 '위력'을 과시했다.

1986년 5월3일 인천시민회관 앞 일대에선 '민주화 운동'이 거세게 벌어졌다. 그리고 이 운동은 이듬해 '6월 항쟁'의 불씨로 작용했다. 우리 민주화 운동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사건'이다. 이른바 '인천 5·3 민주항쟁'은 사실상 1987년 6월 전국에서 펼쳐진 '독재 저항' 운동의 1년 전 예고편이었다. 경찰의 강경진압으로 당일에만 319명이 연행되고, 129명이 소요죄로 구속됐다. 연행된 이들은 갖은 구타와 고문을 당했고, 개중에는 억울하게 잡혀온 사람도 많았다고 한다. 이어 부천 경찰서 성고문 사건과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등이 발생하면서, 마침내 '6월 항쟁'을 일으키는 도화선으로 이끌었다.

당시 인천시민회관 앞 광장(현 시민공원역 일대)에선 신한민주당이 개헌추진위원회 인천·경기지부 결성대회를 열려고 했다. 하지만 각계각층에서 모인 시위자들은 “신민당은 재벌·미제와 결탁한 기회주의 집단”이라고 비난하고, 파쇼 타도와 삼민헌법 촉구 등 여러 요구를 쏟아냈다. 단합된 구호는 없었지만, 목표는 한가지 있었다. 바로 '직선제 개헌'이었다. 그때 수도권 지역 모든 운동권 정파들이 집결한 시위로 인해 신민당의 '개헌 현판식'은 결국 무산됐다.

인천시가 인천의 민주화 운동 역사와 의의를 알리기 위한 기념관 건립에 나서 관심을 모은다. 이런 가운데 인천민주화운동기념공간 조성 부지로 5·3 민주항쟁의 배경이었던 옛 시민회관 쉼터 일대가 적합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시가 지난달 24~27일 온라인협치위원단을 대상으로 인천민주화운동기념공간 조성 부지에 대한 적합도를 조사했더니, 전체 응답자 567명 중 37.5%가 미추홀구 주안동 옛 시민회관 쉼터를 선택했다. 이밖에 부평공원(10.9%), 인하대 옆 공터(10.3%), 월미공원(10.1%) 등의 순이었다.

옛 시민회관 사거리 부근엔 5·3 민주항쟁을 기념해 '다시 부르마, 민주주의여!'라는 글귀를 새긴 계승비를 설치한 상태다. 타는 목마름으로 민주주의를 외쳤던 민초들의 절규가 아직도 생생하게 다가오는 듯하다. 아울러 지금 우리 사회에 정의·공정 등 민주가 살아 숨을 쉬는지 돌아보게 된다. 아무쪼록 '인천 5·3 민주항쟁'이 진정한 민주개혁의 출발점으로 평가를 받았으면 한다. 그래서 각종 민주화운동 기념사업회 설치와 기념관 건립에 대한 정부 지원 근거를 담아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