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진환자들이 완치돼 일상으로 복귀하지만 정서적·심리적 압박을 호소하고 있다. 신체적인 후유증에 시달리고 정신적 불안 상태에 놓이게 된다는 것이다. 이들에 대한 복지서비스가 지역 사회복지관 등을 중심으로 '사례관리' 프로그램으로 제기돼 눈길을 끈다. 하지만 현장 전문가들은 아직 공공의료를 기반으로 한 공론화 과정이 쉽지 않은 과정이라고 설명한다.

완치환자 중에는 코로나19 환자였다는 인식 때문에 복지 사각지대에 머물며 공동생활에도 큰 부담을 느낀다고 한다. 현재 지방정부의 정신건강복지센터가 확진자와 격리자 등에 대한 심리상담을 진행하고 있지만 완치환자에 대한 프로그램은 미비한 실정이다. 건강한 삶을 추구하고 정상적인 일상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공공과 민간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코로나19 완치환자들에 대해 적용할 '사례관리'는 사회복지 분야에서 오래 전부터 활용해 온 문제해결 과정이다.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접근 방법이다. 최근 코로나19 확진으로 목숨을 건 치료과정을 거치고 완치되었다고는 하나 후유증에 대한 심각한 사례들이 나오고 있다. 심지어 잠을 이루지 못하고 극심한 긴장 상태를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례관리 영역에서는 이런 현상을 두려워하거나 감출 필요 없이 복지서비스로 개선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국내 코로나19 확진은 2만명을 넘었다. 완치는 1만5000여명에 이른다. 아직도 5만5000여명에 대한 검사가 진행되고 있어 코로나19 확산이 계속 우려되는 현실이다. 완치환자들의 안정적인 생활 복귀는 공동체의 의무다. 공공기관이 완치환자 사례관리에 집중하도록 정책적 지원 시스템을 갖추어야 할 시점이다. 여기에는 사회·경제적 측면을 비롯한 의료 분야와 개인보호 욕구를 포괄하는 서비스도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수요자의 욕구가 반영되도록 전문 사례연구 인력을 육성하는 것도 과제다.

우리 모두 코로나 블루(우울감)를 겪으면서 불행하다고 한다. 완치자의 사례관리를 통해 일상 복귀를 돕는 매뉴얼과 로드맵이 실질적인 복지서비스로 구축되길 바란다. 초기 단계이지만 인천 부평구 갈산종합사회복지관의 '코로나19 퇴원환자 사례관리' 프로그램 등이 사회복지 실천의 사례로 확산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