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 비롯됐는지 감염경로를 알 수없는 '깜깜이 확진자'가 급증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한다. 대규모 2차 유행 조짐을 보이면서 가장 우려되는 부분이다. 방역 제일선의 역학조사 활동에 과부하가 걸리고 곳곳에서 빈 틈이 생길 수 있어서다. 경기도 방역 일선에서는 벌써부터 먼저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한 동선 파악에 매달리느라 감염경로 대한 조사는 뒷순위로 밀리고 있는 실정이라고 한다. 이럴 때일수록 방역당국이 내리는 그때 그때의 조치에 대해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지난 달 광화문 집회 직후인 16일부터 30일까지 경기도내 확진자 중 감염경로가 파악되지 않은 깜깜이 확진자는 374명에 달한다. 같은 기간 전체 확진자 1352명의 26.62%에 해당하는 인원이다. 이는 그 직전 15일간의 시기에 발생한 깜깜이 확진자 발생 비율보다 3배가 넘는 수치다. 8월 1일부터 15일까지 경기도내 확진자는 360명으로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확진자는 8.05%인 29명에 불과했다. 8월 16일 이전에는 교회발 집단감염 사례가 나온 일부 시•군에서만 주로 깜깜이 확진자가 나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집단감염이 전국적으로 퍼지며 깜깜이 환자 발생 양상도 더욱 파악하기 힘들어졌다. 기존 확진자와 접촉이 없는 상황에서 확진되는 사례가 흔해진 것이다. 현재 경기도내에는 도 역학조사관 14명과 민간인 역학조사관 50명 등 64명이 감염경로를 추적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 16일부터 30일까지 발생한 확진자 1352명의 동선 및 감염경로를 확인 중이다. 매일 1인당 확진자 1.4명을 맡고 있는 셈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역학조사 인력 부족으로 보건소 전체 직원을 투입하기도 한다.

이에따라 방역당국은 확진자 발생 지역 인근 방문자 등 조사대상을 늘려가고 있다. 밀접 접촉자나 확진자 발생 지역에서 동시간대에 머문 사람을 검사하는 것에서 강화된 조치다. 그러나 이는 시민들의 자발적인 협조와 참여가 있어야 실효성이 있다. 또 하나는 개개인 스스로가 더욱 엄중하게 방역수칙을 준수하는 것이다. 가능한 한 마스크를 벗지 말고 활동반경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이 모범으로 언급한 경북 한 유치원의 사례는 많은 시사점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