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여야 정치권이 모처럼 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고 한다. 바로 '인천국제공항공사법'의 개정을 성사시키기 위해서다. 이 법을 개정해 대한민국의 관문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도에 항공정비단지(MRO)를 조성하려는 것이다. 코로나19 사태 이전, 하루 평균 1100편의 항공기가 운항됐던 세계적 허브공항에 제대로 된 항공정비단지는 필수적인 인프라다. 그럼에도 지역균형발전 논리를 앞세운 수도권 역차별이 이를 가로막고 있어 연간 1조원의 국부가 유출되고 있는 현실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현재 국회에 발의돼 있는 인천국제공항공사법 개정안은 두 건이다. 지난 6월 더불어민주당 윤관석 의원이 대표발의한 개정안이 그 하나다. 또 지난 13일에는 미래통합당 배준영 의원도 인천국제공항공사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두 개정안은 인천공항공사 사업 영역에 ▲항공기 취급업 ▲항공종사자 교육훈련 ▲항공기 정비업 등을 포함하는 내용을 담아냈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도 최근 “인천은 민항기를, 경남 사천은 군용기 등을 주로 담당하는 투트랙으로 항공정비사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법 개정에 가세하고 나섰다.

그러나 경남 등 남부지역 정치권은 지난 20대 국회에 이어 이번에도 인천공항 항공정비단지의 발목잡기에 나서 있다. 지난 20대 국회에서도 동일한 내용의 인천공항법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영호남 국회의원들의 반발로 좌절됐고 지난달 경남도의회에서는 '사천 항공 MRO 사업의 조기정착과 균형발전을 위한 인천국제공항공사법 개정안 반대 대정부 건의안'을 채택하기도 했다.

지난 주 영호남 9개 시_군이 참여한 남해안남중권발전협의회에서도 정부 정책 신회 등을 이유로 인천국제공항공사법 개정을 반대하고 나섰다. 이런 식이라면 전국에서 추진되는 바이오산업도 지방 한 곳에서만 이뤄져야 한다는 거나 마찬가지다.

이 무슨 자해성 논리라는 말인가. 국내 민간 항공기 정비 시장의 규모가 연간 2조6000억원에 이르지만 이 중 54%가 해외로 빠져나가는 실정이다. 오직 지역 균형만 바라보는 정책으로는 스스로 경쟁력을 포기하는 행위다. 이번 국회에서는 반드시 인천공항공사법을 바꿔 국가적 MRO 역량을 키우고 일자리와 먹거리를 창출해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