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내년부터 소방 등 4개 분야 시범사업…민간 클라우드 시스템 도입 협상 진행도

인천시가 내년부터 소방, 도시개발, 도시재생, 교통 데이터 등 4가지 분야에 걸쳐 이른바 '데이터 댐'을 시범 운영한다. 여기에 시민들의 빅데이터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민간 클라우드 시스템 도입도 함께 검토 중이다.

인천시는 이같은 인천 특화형 디지털 뉴딜 정책이 포함된 '디지털 트윈 플랫폼 확장 및 데이터 댐 구축 계획안'을 수립했다고 19일 밝혔다.

여기서 '디지털 트윈'은 현실 세계의 물리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동일한 형태의 가상 공간을 만드는 개념을 뜻하며, '데이터 댐'은 미국 대공황 시기에 후버댐을 건설하며 부가가치를 창출한 뉴딜 정책처럼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산업을 활성화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가리킨 용어다.

시는 현재 인천 지리정보 데이터를 모은 지리정보시스템(GIS) 포털을 구축하고 시민들이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시는 전국 최초로 스마트폰으로 건축물, 교량, 터널 등을 통합 점검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시스템'을 구축하고 시 도시경관위원회에서 활용할 수 있는 3차원 디지털 지도 등을 만들기도 했다. 여기에 정부의 디지털 뉴딜 전략에 발맞춰 인천의 시·공간 공공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기초 플랫폼 구축 작업에 시동을 걸기로 한 것이다.

우선 시는 공공 데이터를 모으는 작업에 들어간다. 도시기초 153종 정보를 비롯해 곳곳에 나뉘어져 있는 인천의 도시 정보를 모으는 '스마트도시정보 통합운영'을 본격화한다. 소방, 도시개발, 도시재생, 교통 데이터 등 4가지 분야에 있어 내년부터 시범 사업을 시작하되 소방, 도시개발, 도시재생, 교통, 환경, 재난, 시설물관리, 세금, 관광 등 협업이 진행 중인 분야부터 먼저 디지털 혁신 작업을 시작한다. 또 시는 이미 구축돼있는 GIS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민간 클라우드 시스템 도입을 검토 중이다. 이를 위해 글로벌 IT기업과의 협상을 진행 중이다.

지난달 열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와의 협업 성과 보고회에서 박남춘 인천시장은 “앞으로 행정 분야에서 데이터를 분석해 시민들의 수요를 읽고,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방식은 당연히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며 “앞으로도 시는 데이터 행정을 통해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은희 기자 haru@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