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은 지난해 적수(붉은 수돗물) 사태에 이어 올해는 깔따구 유충 사태에 이르기까지 수돗물 파동을 거듭 겪었다. 올해 깔따구 유충 사태는 지난달 9일 공촌정수장 권역인 서구 왕길동에서 수돗물에서 벌레가 발견됐다는 신고 이후 부평정수장 권역까지 유충 신고가 확산돼 모두 257건의 시민 신고가 잇따랐다. 그러다 지난달 말 이후 유충 발견 신고가 멎자 8월 1일 정상화를 선언하고 수돗물 음용과 학교 급식 재개를 결정했다.

인천시는 정수장의 활성탄여과지 건물 내부에 유입된 깔따구 성충이 유충을 번식하고 이 유충이 수도권을 거쳐 가정으로 유입된 것으로 판단했다는 것이다.

엊그제 인천에서 '안전하고 깨끗한 수돗물 관리체계 검토와 방안 모색-붉은 물과 유충 사태로 본 인천 수돗물 관리체계, 이상 없나'라는 긴 제목의 토론회가 열렸다. 지역 환경단체들이 마련한 자리였다.

우선 두 차례 사태 모두에서 인천시의 대처가 크게 미흡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인천시가 수돗물 유충 사태 대응 과정에서 보여준 행정상 문제점들은 지난해 적수 사태 당시 약속한 시민참여 확대와 수돗물 안심 종합대책 등이 실종된 결과라는 따끔한 지적도 나왔다.

인천시가 현장 위기대응 매뉴얼조차 없이 보여주기식 대책을 내놓은 데 급급해 유충 검출이 일단락되는 시점에서도 추정식 원인 발표에 그쳤다는 것이다. 토론회 참석자들은 이번 유충 사고 대응에 있어서도 지난해 적수 사태 당시의 문제점을 그대로 드러냈다는 데 동의하는 모습이었다고 한다. 따라서 앞으로도 닥칠 수 있는 상수도 사고 대비를 위해 인천상수도사업본부 내부의 근본적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서울시처럼 상수도사업본부에 전문직위를 두는 것과 전문인력 양성, 전문성 강화를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상수도사업본부를 공사로 전환해야 한다는 일부 의견도 있었다.

상수도 업무의 전문성 강화는 지난해에도 제기된 과제다. 일장일단이 있겠지만 시민들의 생활이 걸린 수돗물 만큼은 전문직화가 필요해 보인다. 인천은 두 차례 수돗물 사태로 인해 지역 이미지 추락이나 행정 불신 고조 등의 값비싼 대가를 치렀다. 이제부터라도 인천 수돗물에 대한 쓴 소리에 귀를 열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