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장애 학생들의 정신 건강과 복지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졌다. 따라서 전문적 상담 필요성도 커지면서, 이들을 위해 좀 더 폭넓은 지원을 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장애 학생들의 심리·정서적 안정을 위한 상담 지원은 단순한 대화에서 벗어나, 전문적인 심리치료와 함께 더 나은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한다. 그런데도 지원이 형식에 그쳐 시급히 개선을 해야 한다는 지적을 받는다.

인천의 경우 올해 처음으로 전 공립 특수학교(인혜·연일·미추홀·청인·청선·서희)에 전문상담교사를 배치했지만, 특수교육과정을 이수하지 않은 일반 상담교사를 두었다. '반쪽짜리 정책'이라는 비난을 듣는 이유다. 학생들의 특성과 유형이 다양한 만큼 전문적인 상담과 심리 치료를 지원하려면, 그에 상응한 실력을 갖춰야 하는데도 그렇지 못하다는 평가다. 장애 학생 학부모들은 전문상담교사 자격 요건을 더욱 강화해 대처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시교육청이 특수학교에 상담교사를 배치하기 전엔 특수교사들이 학생 수업을 비롯해 행동 지원, 진로 상담, 심리 지원 등을 모두 담당했다. 시교육청이 전문성을 높인다며 특수학교에 상담교사를 배치함에 따라 학생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정작 장애 학생 학부모들은 걱정을 한다. 특수학교에 배치된 상담교사들은 교육심리나 상담 교육과정을 거친 자격증 소지자이지만, 특수교육과정을 이수하지 않아 장애 학생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이들에게 깊이 있는 상담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장애 학생마다 인지·언어 능력의 개인 편차를 갖고 있어 일반적인 상담기법만으로 적절한 효과를 이끌어내기 힘들다.

그렇다면 장애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상담·지원할 방법은 무엇인가. 우선 특수교육 과정 이수 및 상담교사 자격증 소지자로 자격요건을 강화해야 한다.

그렇게 해서 장애 학생을 이해하고 개별적인 특성에 맞춘 상담을 해야 한다. 장애 학생 이해를 전제로, 심리 분석을 하며 어떤 치료로 개선할 수 있는지 고심하는 전문상담교사가 필요하다. 장애 학생에게 별 도움을 주지 못하는 상담교사 배치는 결국 형식에 불과해 '무용지물'로 전락한다. 상담은 전문 분야로서 특수 관련 전공자에게 맡겨야 옳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