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의대 정원 증원 방침 중단” 촉구
“전공의 진료 중단 … 중환자실도 포함
“참여 인원 정보 깜깜 대책 마련 어려움
“14일 동네·종합병원 의사도 참여 우려
▲ 의과대학 정원 증원 방침에 반대하며 의사단체가 파업을 예고했다.대한전공의협의회는 7일,대한의사협회는 14일 파업에 각각 들어간다. 6일 한 병원에서 전공의들이 지나가고 있다. /김철빈 기자 narodo@incheonilbo.com

 

경기지역에서 7일과 14일 사상 의료계가 사상초유의 파업에 돌입해 환자들은 물론 의료계 전체가 혼란에 빠졌다. 동참 규모 등에 대한 정보가 사실상 '깜깜이'에 놓여있어 지자체들의 대책도 요원하다.

▶관련기사 3면

도는 가뜩이나 의료인력이 부족한 '의료취약지역'으로 손꼽히는 곳이어서 최악의 상황 시 환자들의 피해가 속출할 것으로 보인다.

6일 도내 각 지자체와 대한전공의협의회 등에 따르면 도내 레지던트와 인턴 등 전공의들은 7일 오전 7시부터 8일 오전 7시까지 진료를 중단한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의과대학 정원 증원 방침에 따른 반발이다.

이들은 이날 서울 여의도공원에 집결해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과 공공의대 설립 정책을 중단할 것을 촉구하기로 했다.

전공의협의회는 전국 전공의의 90%가 참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도내 해당 인력이 2000여명이라는 점을 비춰본다면 약 1800명 정도가 동참할 전망이다.

파업은 중환자실, 분만, 수술, 투석실, 응급실에 있는 필수 인력까지 포함돼 응급환자나 중환자들이 진료를 받지 못할 우려가 나온다.

이에 따라 소방당국도 응급환자 이송에 차질이 없도록 비상체계를 운영하기로 했다.

다만 응급실 등 주요 진료부서에는 병원이 자체적으로 대체 인력을 배치하면서, 혼란 수준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게 소방당국의 입장이다.

문제는 동네의원에서부터 종합병원 의사들까지 파업에 참여하는 14일이다. 이들이 행동으로 옮긴다면 '의료공백'으로 인한 시민 피해는 불가피할 수밖에 없다.

병원 1220곳, 의사 2만여명이 있는 경기지역은 의료취약지역으로 구분된다. 다른 시·도에 비해 '여파'가 클 수밖에 없다. 의료격차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인 통계청의 '인구 1000명당 의료인 수(2019년 기준)'를 보면 도는 2.4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 4.4명과 2배 가까이 차이가 나고, 부산·대구 3.4명, 인천 2.5명보다도 적은 수준이다. 전국 평균 3명보다도 0.6명이나 없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한국의 의사인력 적정 수준을 3.2명으로 보고 있다.

지자체별 차이도 크다. 광주, 하남, 남양주, 양주, 연천, 파주, 양평, 용인, 화성, 안성 10곳은 의사 비율이 1.6명도 안 된다.

수원 등 각 지자체는 이달 초부터 대책반을 구성했으나, 참여 규모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도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병원 측이 지자체에 알릴 의무가 없다며 회피하는 경우가 다반사기 때문이다.

의사협회, 전공의협의회도 파업 정보를 깜깜이로 비공개하고 있다.

보건소 등에서 공백을 대체할 방안도 코로나19 감염 우려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수원시 관계자는 “전화를 돌려 참여 여부를 확인하고 있으나 일부 병원에서는 비협조하고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걱정이 크다”고 했다.

용인시 관계자는 “7일 파업은 여파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면서도 “14일에 어느정도 참여할 지 파악하고 있으나 가늠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김현우·이경훈·최인규 기자 littli18@incheonilbo.com

 



관련기사
[의료계 파업] “아이 응급입원 중인데 전공의 없으면 불안해” “지금 이렇게나 환자가 많은데요, 파업이 시작되면 우린 어떡하라고요. 너무 무책임한 거죠.”6일 오전 수원시 지동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진료를 앞두고 접수창구에서 기다리는 환자들은 7일 전공의(레지던트 등)로 시작되는 '의료진 파업'에 대해 분노를 표출했다.환자들은 의료진 대비 환자들은 항상 많은데, 파업이 진행되면 의료공백은 '필연적'이라고 입을 모았다. 평상시와 다를 바 없는 병원의 모습이지만 모두 근심 가득한 표정이었다.이날 접수창구에 놓여 있는 수십 개 의자 대부분은 환자와 보호자로 가득 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