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게 이어지는 장마로 인해 피해가 심각하다. 강한 비가 쏟아지는 가운데 인명·재산피해가 불거진다. 특히 경기도와 충북 등지에선 사망·실종이 잇따르고 일부 철도 운행도 중단되고 있다. 중부지방엔 42일 넘게 비가 계속 내린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1일 오후 6시부터 4일 오후 4시까지 경기도 곳곳엔 40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졌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번 장마 집중호우로 전국에서 15명이 사망하고 11명이 실종됐다고 밝혔다.

이런 상황에서 경기지역 집중호우와 관련한 산사태로 인명피해가 속출한 이면엔 행정 당국의 '안전 불감증'이 한몫했다는 지적이다. 커다란 사건·사고 발생에 으레 따라붙듯 결국 '인재'인 셈이다.

경기도는 산사태 예방을 위한 예산을 해마다 줄였고, 관련 사업 역시 지나치게 특정협회 의견에 의존해 왔다. 올해 사방(砂防)사업 예산은 73억2962만원으로, 지난해 108억8245만원에 비해 35억5283만원 줄었다. 최근 5년간 도의 사방사업 예산을 보더라도 207억2253만원(2016년)→143억2896만원(2017년)→123억6882만원(2018년) 등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현재 도는 산사태 예방 사업의 예산 대부분을 '사방댐' 설치에 사용한다. 사실상 거의 모든 예산을 사방댐 설치에 쓴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방댐은 계곡 상류에서 발생한 산사태로 흙과 모래가 한꺼번에 하류로 쏟아지는 걸 막기 위한 작은 댐을 말한다. 도는 지난해 말 기준 사방댐을 896개로 늘렸다. 문제는 산사태로 인한 인명피해가 드문드문 일어나는 탓에 이에 대한 관심이 적어진다는 점이다. 여기에 도는 사방댐 설치조차 주도적으로 하지 않고, 사방협회에 비정상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산사태 예방 사업 제안부터 추진·점검·평가에 이르기까지 사방협회가 위험하다고 판단하기 전까진 도의 자체 방안은 전무한 실정이다.

산사태 예방 사업에 경기도가 주도해야 함은 물론이다. 특정 기관에 의지하는 구조는 비합리적일 수밖에 없다. 반드시 개선해야 옳다. 경기도엔 산사태 발생 개연성이 큰 곳이 2천군데가 넘는다. 여름철 긴 장마로 인한 산사태를 막을 책임은 도에 있다. 관계 당국은 각종 재난에 대비해 인명·재산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온힘을 다해야 마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