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뉴딜' 정책의 핵심은 '일자리 창출'에 있다. 그만큼 국민들이 체감하는 일을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관건이다. 더구나 코로나19 여파로 실업난에 시달리는 이들에게 일자리는 아주 긴요하다. 사람들이 일을 하는 이유는 시쳇말로 먹고살기 위함인데, 이를 앗아간다면 공포 자체로 여겨진다. 얼마 전 청와대에서 열린 한국판 뉴딜 국민 보고대회에서도 '디지털•그린•휴먼 뉴딜' 분야에 2025년까지 160조원을 투자해 190만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했다.

인천시가 정부의 한국판 뉴딜 정책에 발맞춰 '인천형 뉴딜 종합계획'을 마련했다. 시는 관계 공무원과 전문가로 인천형 뉴딜 전담팀(TF)을 구성하고, 실•국•사업소별 현안을 중심으로 계획을 세워 다음달 발표한다. 시는 한국판 뉴딜 정책의 3대 핵심 분야에 인천의 비교우위 산업인 바이오를 추가할 예정이다.

시는 이를 통해 인천의 현안을 해결하는 동시에 도시 미래를 결정하는 '투 트랙' 전략을 추진한다. 폐기물 처리와 자원순환, 상하수도, 섬지역 의료 분야에 스마트 시스템을 구축해 인천의 도시 문제와 현안을 해결하고, 해상풍력 발전과 바이오•AI 클러스터 분야를 육성한다. 궁극적으론 인천이 '글로벌 첨단 도시'로 발돋움한다는 구상이다.

인천은 한국전쟁 이후 수도권이란 미명 아래 갖가지 제한을 받으며 어려움을 겪어왔다. 서울의 그늘에서 온갖 시련을 견디며 지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천은 수도권을 위해 희생하는 과거의 도시로 남을 수 없다.” 인천형 뉴딜 추진과제 보고회 때 박남춘 시장 말에서 읽히듯, 인천은 이제 미래를 선도하는 도시여야 마땅하다. 그러려면 세계 최고 수준의 혁신 기술과 글로벌 인재•자본이 모여야 한다.

그런데 이런 구상에 구체적인 일자리 문제를 빠트려 보완이 시급해 보인다. 아무리 계획이 거창해도 시민들에게 피부로 와닿지 않으면 사상누각으로 비치기 십상이다. 모든 정책의 성공 여부는 얼마나 양질의 사람들이 참여하는가에 달렸다. 다음달 정식 발표에선 인천형 뉴딜 계획을 통해 몇개 일자리를 만들지 밝히길 촉구한다. 그렇게 해야 가뜩이나 코로나19 사태로 고통을 겪는 시민들에게 희망을 심어줄 수 있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