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이 정치권의 화두로 떠오르면서 각 지역마다 서울 및 수도권의 공공기관을 유치해 가려는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인천 지역사회에서는 해양환경공단을 인천으로 이전해 와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인천에 본부를 두고 있는 해양경찰청과의 유기적인 업무 연관성만 놓고 보더라도 인천이 최적지라는 것이다. 인천은 대한민국의 관문항이면서도 해양 관련 공공기관은 사실상 전무한 실정이다. 인천항을 운영•관리하기 위한 인천항만공사가 유일하다. 지역균형발전이라는 명분에 수도권은 갈수록 역차별을 당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 서울 송파동에 있는 해양환경공단은 국내 유일의 해양환경 전문 공공기관이다. 선박 간 충돌 등 해양사고가 발생하면 해경이 가정 먼저 현장으로 달려간다. 사고 선박에서 기름이 유출되면 해양환경공단이 투입돼 집중적인 방제활동을 벌이게 된다. 해양오염 방제 분야에서 인천에 본부를 두고 있는 해양경찰청과 긴밀히 연계해야 업무적 상승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해역에서 해양오염사고는 올 상반기에만 126건이 발행해 기름 등 오염물질 32.3㎘가 바다로 유출됐다. 해양경찰청과 해양환경공단은 해양사고 발생 초기에 신속한 대응을 위해 지난해 6월 '긴급구난 공동 대응팀'을 신설해 운영하고 있다. 이처럼 해경과 해양환경공단의 관계는 떼려야 뗄 수 없는 '바다 위 동반자'인 셈이다. 해양환경공단 내부에서도 공단을 부산이나 전남 등 지방으로 이전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이라고 한다. 이왕 이전한다면 해양경찰청이 있는 인천으로 옮겨 업무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부산, 전남 등에서는 공공기관의 효율성 등에 대한 고려는 없이 이 기회에 한 곳이라도 자기지역에 가져가기 위해 필사적이다. 특히 부산은 인천에 있는 극지연구소까지 공공연히 넘보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행태는 분명히 문제가 있다. 해양환경공단 하나 만큼은 지방 이전 대상에 넣지 말고 기관 고유 업무의 효율성이나 해양도시들간의 균형적 발전을 위해 인천으로 옮겨오는 것이 맞다. 해양도시 인천의 위상을 감안해서도 지역 정치권은 해양환경공단의 인천 이전에 선제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