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산하 부산 6·서울 4곳
기존 기관마저 지방이전 사례
말뿐인 해양도시 상대적 소외
“균형발전 위한 재배치” 여론

 

인천항만공사와 극지연구소는 해양도시 인천의 대표적 해양 관련 공공기관들이다.

그러나 극지연구소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기관이어서 해양수산부의 공공기관 현황에는 잡히지 않는다. 공식적으로 인천의 해양 공공기관이 단 한 곳에 불과해 해양기관들의 부산 쏠림 현상이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29일 인천일보가 입수한 '해수부 산하 공공기관 현황' 자료를 살펴보면 모두 16개 공공기관 중 6곳은 부산에, 4곳은 서울에 몰려 있다.

특히 부산항만공사와 한국해양수산연수원,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한국해양진흥공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국립해양박물관 등 공공기관들이 부산에 둥지를 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선박과 항만 터미널 등 해운·항만업 관련 자산 투자 ▲해양 자원 연구·개발 ▲해양 분야 우수 전문인력 양성 ▲해양문화·산업 유산 발굴·보존 등 해양 관련 주요 정책과 사업들이 부산을 중심으로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이유다.

해양환경공단과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한국어촌어항공단, 한국해양조사협회는 서울에 위치해 있다.

나머지 공공기관 소재지는 세종 2곳(선박안전기술공단·한국항로표지기술원)과 전남 1곳(여수광양항만공사), 울산 1곳(울산항만공사), 충남 1곳(국립해양생물자원관) 등이다.

국내 컨테이너 물동량 2위와 남북 간 해상 교역 중심지, 동북아 경제 중심 도시 등 각종 수식어가 붙을 만큼 인천은 해양도시로 성장을 거듭해왔지만 정작 지역에선 해양 공공기관들을 찾아볼 수 없어 상대적 박탈감과 소외감을 겪어왔다.

2017년 8월 새얼아침대화 강연자로 나선 부산 출신 김영춘 해수부 장관이 부산은 해양수산 분야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고 치켜세운 반면 인천에 대해선 “해양도시로서 정체성이 없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인천일보 2017년 8월10일자 1면>

아울러 인천은 굳건히 지켜왔던 해양 공공기관들이 지방으로 이전하는 아픔을 겪은 바 있다. 2012년 12월 인천 소재 국립해양조사원이 부산으로 떠났고, 2015년에는 선박안전기술공단이 송도국제도시에서 세종으로 이전했다. 상황이 이렇자 지역에선 서해 5도를 품고 있고 수도권 관문항이자 수산업 중심축인 인천에 해양환경공단과 한국어촌어항공단 등을 유치해 대한민국이 해양강국으로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남흥우 인천항을 사랑하는 800모임 회장은 “해양 공공기관들이 부산에 집중돼 있는 것 자체가 균형 발전과 거리가 멀다. 각 해양도시 특성에 맞게 공공기관들을 재배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범준 기자 parkbj2@incheonilbo.com



관련기사
“바다 위 동반자 함께해야”…해양환경공단 유치 목소리 국내 유일 해양환경 전문 공공기관 '해양환경공단'이 인천에 새 둥지를 틀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해양오염 방제 분야에서 인천 소재 해양경찰청과 업무적 상승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양 관련 공공기관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해양도시 인천의 목마름을 해소할 실질적 대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29일 해양경찰청에 따르면 올 상반기 우리나라 해역에서 해양오염사고 126건이 발생해 기름 등 오염물질 32.3㎘가 바다로 유출됐다. 오염물질 유출량은 전년 동기 대비 43% 감소한 수치다.해경은 선박 간 충돌 등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