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가 끝나면 다음달부터 본격적인 피서철을 맞지만 역시 코로나 방역이 관건이다. 교통연구원이 615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올해 여름휴가는 8월 첫째 주(1~8일)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23.2%가 이 기간에 여름휴가를 보내겠다고 했고, 8월22일 이후(19.6%)가 뒤를 이었다. 8월 첫째 주의 하루 평균 고속도로 통행량은 지난해(469만대)보다 늘어난 476만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여름휴가를 가겠다고 한 사람은 37.8%로 지난해(41.4%)보다 줄었지만, 코로나 사태로 해외여행 대신 국내여행을 택한 이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방역당국은 사람이 붐빌 것으로 예상되는 고속도로 휴게소 등에 방역조치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무엇보다 해수욕장이 문제다. 사람들이 몰리지만 철저한 방역이 어려워 방역체계가 한순간에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수가 물놀이를 하는 해수욕장에서 마스크 착용, 텐트•파라솔 2m 간격 설치, 발열 체크, 방문자 정보 기재 등 쉬운 게 하나도 없다. 이미 개장된 해수욕장이 이를 입증하고 있다. 백사장에서 마스크 착용 여부를 놓고 관리인과 이용자 간의 실랑이가 벌어졌고 텐트 간 이격거리도 잘 지켜지지 않았다.

다음달부터 휴가객이 몰려들어 해수욕장 운영이 본격화되면 이러한 문제점의 정도가 한층 심화될 것이다. 백사장에서의 마스크 쓰기는 사실상 불가능하고 사람 간 거리두기도 헛구호에 그칠 공산이 크다. 완전히 개방된 야외에서 방역수칙을 이행하기도 어렵고 단속하기도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해양수산부는 연간 30만명 이상이 방문하는 해수욕장에 야간 음주•취식행위를 금지하고 있지만, 전시행정에 불과하다는 것을 스스로 알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수욕장 관리에 철저를 기해야 한다. 밀집•접촉이 일어날 수밖에 없는 해수욕장이 코로나 집단감염의 동인이 될 개연성은 충분하다. 지방자치단체와 해수욕장 운영 주체는 현장대응반 운영 및 예방수칙 준수 홍보를 강화하고, 각개 해수욕장 특성에 맞는 방역시스템을 면밀히 실천해야 한다. 그래도 방역체계 유지가 어렵다고 판단되면 해수욕장을 폐장하는 방안까지 염두에 두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