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상수도 시스템·노후관 정비
지난해 붉은 수돗물 대책과 겹쳐

인천 공촌정수장 고도정수처리시설의 운영 미숙으로 벌어진 '깔따구 유충' 사태 해결책으로 인천시가 스마트 상수도 시스템 도입, 노후 수도관 정비 등 인프라 개선 사업들을 제시했다. 인천시가 내부 운영 개선보다는 '보여주기식' 인프라 구축에 그쳤다는 비판이 나온다.

시는 지난 25일 부평정수장을 방문한 정세균 국무총리에게 '수돗물 시민신뢰 회복 프로젝트' 등 수돗물 유충 사태 재발 방지 대책을 보고했다고 26일 밝혔다.

박 시장은 보고 과정에서 “현재 정수장과 배수지에서 가정집으로 이어지는 공급경로를 지속 모니터링한 결과 더는 유충이 발견되지 않고 있다”며 “급수관에 남아있을 수 있는 유충이 일부 발견되고 있으나, 소화전 방류 등을 통해 필요한 조치를 적극 취하는 만큼 조만간 안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가 공개한 재발방지 대책에는 ▲정수장 고도정수처리시설의 운영 개선 ▲인천형 워터케어 서비스 시행 ▲스마트폰 수돗물 수질정보 공개 등 3가지 방안과 함께, 수돗물 시민신뢰 회복 프로젝트로 ▲2021년까지 수돗물 식품경영안전시스템(ISO 22000) 도입 ▲스마트 상수도 시스템 운영 ▲노후 수도관 정비 조기 실행 등 3가지가 포함됐다.

이는 지난해 붉은 수돗물(적수) 사태 이후 제시된 대책과 상당 부분 겹치는 내용이다.

유충 사태 핵심 원인으로 꼽히는 고도정수처리시설의 운영 개선, 식품 안전 위해요소 차단 목적의 ISO 22000 도입 등 2건을 제외한 4개 대책들은 모두 적수 사태 이후 민관 공동으로 진행된 상수도혁신위원회에서 제안 과제에 포함된 내용들이다.

이마저도 스마트 상수도 시스템 도입, 노후 수도관 정비 등 대다수가 대규모 비용 투입이 필요한 인프라 구축 사업으로, 유충 사태 원인에 초점이 벗어난 대책이기도 하다.

최혜자 인천물과미래 대표는 인천상수도사업본부 조직 내부의 전문성 강화에 초점을 맞춘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최 대표는 “이번 인천 수돗물 유충 사태는 붉은 수돗물 이후 내부 조직 쇄신이 이뤄지지 못했다는 반증”이라며 “합동조사단의 정밀한 원인 분석을 통해 상수도본부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방향의 시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은희 기자 haru@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