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공기업 마저 패싱 … 실적 없는 업체 악순환 반복

특수공정 명분 내세워 발주하면

지역업체 참여는 하늘의 별따기

결국 수주 못해 다음 입찰도 제외

지역 건설업 활성화의 성지 대전

분기별 대책으로 업계 직접 챙겨

 

“건설경기가 위축됐다. 구체적 대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코로나19로 어렵다. 다양한 활성화 방안을 강구하겠다.” 대동소이한 두 문장, 1년이란 시간을 두고 인천시가 강조한 문구다. 3년 전에는 “지금까지 해보지 않은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 세일즈 운영하겠다”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현장 반응은 싸늘하다. 여전히 인천 건설업체의 하도급률이 최악이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3면

인천시는 민선7기에 돌입하며 도시재생과 균형발전을 시정의 핵심으로 세웠다. 그러나 2019년 원도급률은 전년 대비 8.1%로 떨어졌고, 지역 인력 참여율은 무려 10%나 뒷걸음질 쳤다. 그나마 하도급률에서 전년 대비 6.5% 높아졌지만 30%대에 머문다.

인천에 뿌리내린 국가 공기업의 인천 업체 패싱은 도를 넘었다. 국가공기업의 지역업체 하도급률은 18.9%에 그친다. 지역 업체를 안 쓰니 지역 자재 사용률이 낮을 수밖에 없고, 지역에 일자리도 적다.

지역의 A건설업 관계자는 “국가공기업은 특수공정이란 명분으로 공사를 발주하면 그에 맞는 지역 업체가 참여할 수 없다”며 “지역 업체가 특수공정 참여를 못하니 다음 입찰에서도 불이익을 받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반면 부산의 하도급률은 50%를 넘어서며 수주액이 6조원을 돌파했다. 인천의 수주액 3조원의 두배다.

대전은 지역 건설업 활성화 정책의 성지와 같다. 대전은 분기별 활성화 대책을 내놓으며 꼼꼼하게 지역 건설업을 챙긴다. 대전의 지역 하도급률은 무려 66%이다. 민간 대형건설사업의 사업초기 설계용역부터 각종 심의단계, 인허가 단계, 공사착공단계 등 각 공정별을 촘촘히 나누고, 지역 하도급률 50% 미만 사업장은 수주율 저조현장 특별점검을 벌인다. 대전시는 “외지 건설사와 지역업체 상호 간 정보확보 어려움으로 소통이 부족하다”며 “지역업체 참여 확대 우수업체에 대한 시장표창과 우수공사장 격려 현장방문 등을 벌이고 있다”고 언급했다.

물론 지역 건설업체만을 강조하는 것에 시장 경제는 반기지 않는다. 그만큼 지역 건설업이 활성화될 수 있는 근본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B업체는 “시가 지역 건설업 활성화를 위해 대기업 수주율만을 요구할게 아니라 지역 건설업의 전문성을 키우고 재정력을 높일 수 있는 처방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



관련기사
[죽어가는 인천 건설업계 '심폐소생' 방안은? 2 세일즈 행정으로 '숨' 불어넣어야] 의지 실린 대책이 고사 위기 막는다 “대형 건설사 중심의 민간사업 발주처와 협력업체 관계 속에서 인천 업체의 하도급률을 올리기가 힘들다.” 취재를 위해 얘기를 나눴던 인천 몇몇 하도급 업체들의 공통된 생각이다. 주로 서울과 경기에 포진한 대형 건설사들이 인천 현장에서 꾸리는 팀 내 팀원(협력사)이 되려면 지역 업체들은 돋보이는 기술력이나 특출난 원가 절감을 보유해야 한다. 문제는 이에 도가 튼 하도급사들이 수도권에 즐비하다는 점이다.▲지난해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개사 중 인천 4곳 전부대형 건설사 입장에선 협력사와 손발이 맞아야 비용 절감, 공사 기간 축소 등 효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