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문제' 등으로 도입 꺼려

여주 지난해 5월 도입 후
타지 산후관리 불편 사라져
이용료 민간 대비 24% 저렴
/사진출처=연합뉴스

 

경기지역 임산부들이 생활권을 벗어나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원정 휴식' 문제를 해결하는데 효과를 거둔 '공공산후조리원'이 찬밥 신세를 받고 있다. 대부분 지자체가 '돈 문제' 등으로 도입을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23일 경기도에 따르면 여주지역은 그동안 조리원이 없어 임산부가 아기를 낳고도 이천 등 타지에서 산후 관리를 해야 하는 불편을 겪던 곳이다.

김모(34·여주)씨는 “지난해 초 출산한 아내가 집 근처 병원에서 산후조리를 원했지만, 시설이 없어 25㎞ 떨어진 이천으로 갔다”며 “지인도 쉽사리 찾아올 수 없는 곳에 혼자 있는 아내가 걱정됐었다”고 했다.

그러나 지난해 5월 공공산후조리원이 들어서면서 이런 문제가 말끔히 해결됐다. 이 시설은 지상 2층, 13개 실 규모로 간호사 등 18명이 상주하면서 임산부와 출생아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층에는 조리교실, 운동교실 등 모자보건증진실이 있고 2층에는 몸 관리를 위한 시설이 들어서 있다. 민간에서 운영하는 곳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이용요금도 민간 대비 24% 저렴한 168만원(2주)이다. 앞서 보건복지부의 2018년 산후조리원 실태조사에서 평균 220만원이라는 결과가 도출된 적 있다. 운영비는 도가 전체의 70%를 지원한다. 지난해 모두 8억원(시 2억4000만원)이 들었다.

이런 장점으로 인기 만점이다. 지난해 5월 개원한 이후 12월까지 138명이 머물렀다. 광주 등 산후조리원이 없는 지역의 방문도 잇따라 10월에는 예약률이 100%, 즉 자리가 꽉 찼다.

올해는 코로나19 여파에도 1∼6월까지 138명이 찾았다. 같은 기간 여주시의 출생아가 266명이라는 점을 보면 절반(51.1%) 넘는 임산부가 시설을 이용한 것이다.

공공영역에서 운영하니 민간보다 '안전성' 측면에서 좋다는 반응까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정작 지자체들은 이 시설 도입을 외면 중이다. 예산이 부담되고, 자칫 감염병이 발생하면 골칫거리가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도가 2016년 이 사업을 처음 추진할 당시 이 같은 이유로 여주시만이 참여를 희망했다. 이후에도 상황은 변하지 않았다. 도는 지난해 여주에서 개원 이후 한 차례 더 '희망도 조사'를 했으나 포천시 말곤 없었다.

도 관계자는 “22년에 포천에서 1곳이 유일하게 개원해 남부 1곳, 북부 1곳 등 2개소를 운영한다”며 “늘리고 싶어도 시·군에서 골칫거리로 생각해 방법이 없다”고 밝혔다.

/이경훈 기자 littli18@incheonilbo.com



관련기사
산부인과 태부족…어디서 애를 낳나요 #1. 올해 6월28일 새벽 1시. 가평 119에 다급한 목소리의 전화 한 통이 걸려왔다. 임산부가 통증과 하혈로 도움이 필요하다는 내용이었다. 현장으로 출동한 소방은 40㎞ 떨어진 서울 미아동의 한 병원으로 임산부를 이송해야 했다. 지역 내에 분만산부인과가 없었기 때문이다. 가평 소방서 관계자는 “1시간이 걸렸다. 산모의 상태가 위중하지 않아 다행이었다”고 말했다.#2. 2018년 4월15일 동두천에서는 출산이 임박한 산모가 20㎞ 떨어진 포천의 분만산부인과로 가던 중 도로가 막혀 옴짝달싹 못 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경찰의 긴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