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MC 중심으로 유치활동…일본업체와 협력 전제로 수조원 지원"

 

 

 

일본 정부가 자국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대만 등 해외업체를 유치해 일본 업체와의 공조하도록 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는 반도체 완성품을 만드는 외국업체를 자국에 유치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공장 건설 등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는 방안을 조율 중이라고 요미우리(讀賣)신문이 18일 보도했다고 연합뉴스가 19일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자국의 첨단 반도체 생산 체제를 서둘러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해외 기업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이런 정책을 추진한다.

일본 내에 제조 거점을 확보해 반도체의 공급이 중단되지 않도록 하고 기술과 생산 노하우를 확보해 반도체 산업을 재건한다는 구상이다.

도쿄일렉트론 등 일본 반도체 장비업체나 연구 기관 등과 공동 개발을 하는 것을 전제로 외국 업체에 수년간 수천억엔(수조원 규모)의 자금을 지원하는 방안을 가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본 경제산업성은 삼성전자 및 인텔과 더불어 반도체 시장의 '빅3'인 대만 TSMC를 중심으로 유치 활동을 벌인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TSMC는 작년 11월 도쿄대와 공동연구소를 세우는 등 일본과 반도체 개발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다.

경제산업성은 삼성전자나 미국 기업과 협력하는 방안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일본은 반도체 제조 장치나 재료 분야에서는 전문성을 키웠고 경쟁력 있는 업체가 다수 있으나 완성품 시장에서는 열세를 면하지 못하고 있다.

작년 10월 기준 일본 정부 자료 등에 의하면 반도체 생산능력은 TSMC 등 대만 기업이 세계 시장의 42%, 인텔 등 미국 기업이 28%, 삼성전자 등 한국기업이 18%, 중국 기업이 11%를 점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폰 등 모바일 단말기를 위한 통신용 반도체의 경우 한국·미국·대만이 약 80%를 차지한다.

일본은 1980년대에서 1990년대 전반까지는 NEC나 도시바(東芝) 등이 기업용 컴퓨터나 서버용 메모리 분야에서 점유율을 확대하는 등 두각을 나타냈으나 1990년대 후반부터 PC가 시장의 주류가 되면서 밀리기 시작했다.

이후 일본계 업체들은 히타치(日立)제작소, NEC 등의 반도체 사업을 통합하며 반전을 모색했으나 스마트폰이 보급되고 경쟁이 치열해진 가운데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했다.

/조혁신 기자 mrpen@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