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GCF콤플렉스 코로나로 중단
동북아개발은행 좌절에 이은 두번째
남은 희망은 정부 그린뉴딜 정책 뿐

부산, 내달부터 국제금융진흥원 가동
세계 금융허브 비전 아래
홍콩 내 글로벌 금융사 유치 본격화

인천의 국제금융도시 꿈은 한 발짝도 나가지 못했지만 부산의 국제금융도시 꿈은 꽃을 피웠다. 대통령 공약 사업이자, 녹색기후기금(GCF)과 세계은행그룹(WBG)을 확보하고도 인천의 국제금융도시 실현은 안갯속이다. 반면 부산은 세계 금융 허브인 홍콩을 대신할 해외 금융회사 유치에 팔을 걷었다.

인천시는 금융허브 관련 사업이 아직 구체화되지 못한 상태라고 18일 밝혔다. 십수 년 인천의 꿈인 '금융허브'에서, GCF 사무국 유치 후 '녹색기후금융도시'로 궤도를 수정해 녹색기후기금 콤플렉스 조성에 나섰지만 한 발짝도 내딛지 못한 것이다.

GCF 콤플렉스 조성 사업은 문재인 대통령의 인천 공약 사업으로 총 사업비 2594억원을 들여 송도국제도시에 1만8500㎡ 규모의 GCF 관련 기구 등 관련 산업을 집적시키는 게 주된 사업 내용이다.

하지만 기획재정부는 “우리 업무 아니다”며 손사래를 쳤고, 산업통상자원부 역시 “GCF 관련 사업은 기재부 소관이다”는 소극적 태도를 보였다. 국가 직접 사업으로 GCF 콤플렉스를 추진하는 데 필요한 수 천억원의 재원에 따른 부처 간 부담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에 시는 산통부와 공동으로 6000만원을 들여 지난 2017년 6월 'GCF 연관 산업 육성 송도 녹색기후금융도시 조성 방안 연구용역'을 시작해 이듬해 마쳤다. 이후에도 청와대에서 수차례 관련 회의가 열렸지만, 해당 부처 선정은커녕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해 사업 논의가 원점에서 한 발짝도 나가지 못했다.

박근혜 정부 때 추진된 민선6기 시 공약인 동북아개발은행 유치전 또한 정권 교체 후 물거품이 됐다. 사실상 인천이 국제금융도시에 기대를 거는 분야는 정부의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맞춰진 그린 뉴딜 정책이다.

부산의 국제금융도시 도약은 눈부시다.

부산은 지역 금융중심지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부산국제금융진흥원 초대 원장에 김종화 전 금융결제원장을 선임했다. 7월 중 본격 가동될 부산국제금융진흥원 참여 기관은 한국거래소, 예탁결제원, 한국자산관리공사, 주택금융공사, 해양진흥공사, 부산은행, 기술보증기금 등이다.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과 부산국제금융진흥원은 “홍콩 내 글로벌 금융회사 유치활동을 강화해 부산이 동북아 금융허브라는 큰 비전을 그려 나가겠다”는 진흥원 건립 취지를 강조했고, 국제적 금융컨설팅사의 글로벌 마케팅 프로그램을 비롯해 다음 달 홍콩 금융회사 대상 투자설명회를 준비 중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인천의 GTX 콤플렉스 조성과 관련해 국비 지원을 요청 했지만 부처 간 이견으로 아직 부처 선정조차 못 한 상태”라며 “현재는 코로나19로 관련 논의가 멈춰 있다”고 말했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