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등교수업이 이뤄졌음에도 긴급돌봄서비스 수요가 줄어들지 않자 학교 측이 전문인력 부족을 호소하고 있다. 현재 인천지역 256개 초등학교에 돌봄교실이 829개 운영되고 있으며, 하루 평균 이용학생은 7200여명에 달한다.

코로나 사태 초기인 지난 3월2일 1304명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엄청나게 늘어난 수치다. 게다가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맞벌이 부부 등에게 인기를 끌고 있는 긴급돌봄서비스 수요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원래 돌봄교실은 방과 후인 오후 1시부터 7시까지 운영돼 왔으나 코로나 사태로 긴급돌봄서비스가 도입되면서 오전 9시~오후 1시 타임이 추가돼 전일 운영되고 있다. 교육당국은 초등학생 등교수업이 이뤄진 지난달 27일부터 긴급돌봄서비스를 중단하고 기존 돌봄서비스 체계로 전환하려 했으나, 등교수업이 주 1회 정도에 불과한 점을 감안해 긴급돌봄서비스를 사실상 유지하고 있다.

문제는 수요에 비해 전문인력이 적다는 점이다. 인천지역 돌봄 전담사는 590명으로 돌봄교실(829개)의 71%에 불과하다. 한 개 교실에 한 명도 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학교 측은 시교육청이 전담사 증원에 적극 나서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학교 관계자는 “교육기관인 학교가 보육기관처럼 돼가고 있는 현실에서 전문인력 보강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또 돌봄교실 보조인력인 강사의 급여는 학교 측이 부담하고 있다면서 인건비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강사료가 시간당 1만5000원(최고 기준)에 달해 코로나 사태 장기화에 대비할 수 없다고 강조한다. 하지만 교육청은 학교에 제공하는 돌봄교실 운영비에서 강사 급여를 충당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객관적 관점에서 볼 때 교육청의 지원이 이뤄지는 것이 정상이라고 판단된다. 긴급돌봄서비스는 교육청이 입안하고 실질적으로 주도해온 정책인 만큼 마무리되는 시점까지 책임 있는 자세를 보이는 것이 마땅하다.

물론 교육청의 재정상태도 넉넉지 않겠지만, 코로나 사태라는 엄중한 현실을 헤쳐나가는 데 있어 돌봄교실이 시민들에게 큰 힘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대승적인 결단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