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서구 경서동의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위해서라도 쓰레기 소각장을 추가로 지어나갈 것임을 천명했다. 지금까지처럼 쓰레기 대부분을 땅에 묻는 직매립 방식의 처리로는 인천시민들의 숙원인 수도권매립지 문을 닫기가 여의치 않을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특히 박남춘 인천시장은 인천시의회 시정질문 답변에서 “표를 잃더라도 소각장을 추가로 짓겠다”며 배수진을 쳤다. 또한 환경부, 인천시, 서울시, 경기도간의 2015년 4자협의는 사실상 인천에 있는 수도권매립지를 영구화하려는 합의에 불과한 만큼 재합의가 필요하다는 입장도 밝혔다고 한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최근 인천시의회 답변에서 “소각장은 필수 시설”이라며 정치적으로 불리해지고 표를 받지 못하더라도 소각장 확충만큼은 가야 할 길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최근 몇년 사이 기존 송도•청라 소각장의 증설이나 계양구 지역에 소각장을 신설해야 하는 현안들이 주민들의 반대와 정치적 입장에 따라 한발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 대한 소신으로 읽혀진다.

'수도권매립지 2025년 사용 종료'를 정책 목표로 두고 있는 인천시는 이를 위해 소각장 확충과 자체 매립지 조성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쓰레기 소각장 확충 문제와 관련해서는 지난해 12월부터 1년간 '자원환경시설 친환경 현대화 사업 타당성 검토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이 진행 중이다. 청라와 송도에 두 곳뿐인 생활폐기물 소각장을 놓고 인근 주민들의 이전•폐쇄 요구가 빗발치자 인천시는 시 전역으로 범위를 넓혀 시설 현대화 및 신규 건설 방안을 찾고 있는 것이다. 올 하반기에는 '친환경 자체 매립지 조성 용역'도 착수될 예정이다. 2025년까지 쓰레기를 별도로 처리하는 매립장을 확보하기 위한 입지 타당성 조사지만, 코로나19 사태로 사전 절차에 해당되는 시민 공론화가 늦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박 시장이 언급한 바와 같이 쓰레기 소각장은 더 이상 혐오시설이 아니다. 지하화도 가능하고 친환경 기술을 접목하면 얼마든지 주변 피해를 감당할 수 있다. 눈 앞에 보이는 표와 정치적 이해타산으로 소각장 문제 하나 해결 못한다면 인천의 지속가능 발전은 공염불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