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신항 배후단지에 콜드체인 특화구역이 들어선다고 한다. 콜드체인은 수산물이나 농산물 등 신선식품을 산지에서 소비지까지 저온 상태로 유통시키는 고부가 물류 시스템이다. 해양수산부의 이번 정책 결정은 그간 상대적으로 홀대를 받아 온 인천항으로서는 가뭄 끝 단비같은 소식이다. 인천항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지고 지역내 일자리도 그만큼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감을 던져 준다.

해수부는 지난 2일 송도국제도시 인천신항 배후단지 안에 23만㎡ 규모의 콜드체인 특화구역 지정 계획을 확정했다. 최근 10년간 축산물 수입이 연평균 10.8%, 수산물 수입이 3.8%로 늘어나는 등 냉동•냉장 수요가 급증한 데 따른 것이다. 해수부는 이번 특화구역 지정을 통해 약 6500억원 규모의 민간투자와 600개 이상의 신규 일자리가 생겨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연간 8만TEU(6m 길이 컨테이너 1개) 규모의 신규 컨테이너 화물이 창출되는 등 경제적 파급효과가 연간 1조26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콜드체인 특화구역을 조성•운영을 맡은 인천항만공사는 LNG 냉열을 재활용하는 신기술 적용에 중점을 두고 맞춤형 투자유치에 속도를 낼 계획이라고 한다.

인천항만공사는 해수부의 지정 계획에 따라 2018년부터 입주기업 선정에 들어갔으나 어려움을 겪은 바 있다. 지원한 기업 중 LNG 냉열 활용 기술력과 초저온 화물 유치 및 투자 능력 등에 적합한 기업이 없고, 그간 높은 관심을 표명했던 기업들은 최종 공모에 참가하지 않아서다.

인천신항 배후단지의 입주기업 선정방식이 한계를 드러낸 셈이다. 이에 인천항만공사는 앞으로 초저온 화물특성에 맞춰 투자규모 및 방식, 사용 면적 등을 자유롭게 제시할 수 있도록 유연한 기업 유치 방식을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이제 남은 것은 콜드체인 특구를 여하히 빠른 시일내에 성공시켜 인천의 새로운 먹거리와 일자리로 만드느냐는 것이다. 인천항만공사는 경제성과 기술력이 검증이 안된 LNG 냉열에만 집착할 것이 아니라 지역 거점 업체들에게도 입주 기회를 주고 성장할 수 있도록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