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이 몰고 온 경제위기는 이제 우리가 피부로 느낄 정도다. 특히 공항·항만 등 물류산업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인천 지역경제로서는 그 피해가 한층 심각한 실정이다. 먹고 사는 일의 해결을 놓치지 않아야 하는 문제는 감염병 방역 못지 않게 중요한 과제다. 그래서 정부는 최근 디지털•그린 뉴딜 정책을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경제 기조로 제시했다. 이에 발맞춰 인천연구원이 인천지역 경제를 살리기 위한 '인천형 뉴딜'의 발굴과 시행이 필요하다는 과제를 제시했다.

인천연구원이 최근 '코로나19 경제 위기 대응을 위한 인천형 뉴딜의 추진 전략 및 과제'라는 연구보고서를 냈다. 디지털 뉴딜로 불리는 정부의 한국판 뉴딜 사업을 인천에 그대로 적용하면 투자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한계가 따른다는 문제 의식을 바탕으로 한 방향 모색이다. 인천연구원은 인천시가 정부의 디지털 뉴딜에 대응한 디지털 경제 기반 조성을 위한 투자사업과 함께, 그동안 미뤄온 혁신 인프라 및 포용적 성장 기반 확충의 현안사업을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부는 한국판 뉴딜을 정책 방향으로 잡고 비대면 산업 육성 등 10개 프로젝트를 선정했다.

인천연구원은 인천형 뉴딜의 필요성으로 인천은 세계적 봉쇄 조치로 항만· 공항·관광 등의 산업이 큰 위기에 직면해 있고 자동차 등 제조업 분야 또한 조달 공급망의 교란 및 해외시장 위축으로 어려움이 가중된 점을 꼽았다. 따라서 지역의 혁신성장 인프라 확충을 위해 로봇랜드와 바이오융합기술단지의 조기 착공 등 바이오-병원-임상-의료기기 산업에 주력할 것을 제안했다. 이를 위한 각 분야별 실천사업으로는 산업단지 대개조 사업을 통한 스마트 제조 확산, 물류 빅데이터 통합플랫폼 구축, 서창-김포간 고속도로 민자사업, 제3연륙교 건설 조속 추진, 영종도 재난 전문 국립종합병원 건립 등 25개 사업을 꼽았다.

인천에서도 하루가 다르게 문을 닫는 자영업자들이 계속 늘어나는 경제위기다. 감염병 방역과 함께 시민들의 지속가능한 살림살이를 살펴야 할 때다. 지역 경제계와 인천 시정부는 때를 놓치지 않도록 '인천형 뉴딜 정책'의 발굴·추진에 머리를 맞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