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배달 서비스는 수익 추구에만 매달리는 민간 업체에 대응하려는 전략이다. 소상공인들을 보호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도 꾀한다는 일석이조의 정책이다. 처음엔 논란을 빚긴 했어도, 사용자들의 호응을 이끌어내면서 점차 자리를 잡고 있다. 아주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그동안 민간배달 앱은 편리함을 앞세운 독과점 폐해 속에서 자영업자의 어려운 현실을 외면했다는 비판을 들어 왔다. 공공배달 서비스가 새로운 경제활동 방식으로, 소비자 인식의 전환을 이룰지 주목된다.

전국에서 이런 공공배달 서비스를 처음 펼친 곳은 인천시 서구다. 지난 1월부터 선보인 `서로e음 배달서구'가 바로 그것이다. `배달서구'는 지역화폐 서로e음 사용자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데, 서로e음은 작년 5월1일 출시 이후 큰 인기를 끌었다. 지난해 말까지 사용자 수 32만명, 발행액 4262억원을 기록했을 정도다. 서구는 이를 기반으로 한 공공배달 서비스에 뛰어들었다. 구는 올해 안에 가맹점을 1400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배달서구`에선 중국요리·치킨·피자·족발·보쌈·패스트푸드·디저트·도시락 등 다양한 메뉴를 만날 수 있다. 민간배달 앱엔 월 8만여원의 마케팅 비용과 5.8~12.5%의 중개수수료를 내야 하지만, `배달서구`는 이를 공공서비스로 지원해 온라인 결제수수료 3%(부가세 포함)만 받는다. 중개와 마케팅을 대신해 주지만, 중개수수료는 무료인 셈이다. 여기에 사용자를 위한 혜택도 파격적이다. 현 10%인 기본 캐시백에 가맹점이 자체 할인(3~7%)을 더해주고, 가맹점 이용 특전으로 추가 캐시백(5%)을 합한다. 최소 18%에서 최대 22%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구조다.

`배달서구`가 호응을 얻자, 경기도와 군산시 등 전국 지자체에서도 비슷한 앱을 개발해 서비스에 나서는 모양새다. 자영업자 매출을 돕고 지역경제를 선순환하겠다는 취지에서다. 문제는 주문 접수를 어떻게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느냐다. 지금으로선 이용자를 위해 콜센터 운영 방안을 내놓고 있지만, 시스템 적용을 면밀하게 살펴야 함은 물론이다. 민간업체가 왜 성공했는가를 잊어선 안 된다. 소비자와 소상공인들이 함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