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창업지원주택' 사업은 청년(예비) 창업가에게 사무·주거공간의 주택을 제공하고, 창업 지원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성공적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돕는다. 청년 창업가들은 이 주택에서 시간에 구애를 받지 않고 근무하면서 주거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주택을 매입해 공급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건축계획 때부터 청년 창업에 걸맞은 건축 기준을 세운다.
이렇게 좋은 사업임에도 인천에선 그 취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는 듯하다. 인근 주민들의 반대로 뿌리를 내리긴 커녕 시작 단계에서부터 난항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시행 중인 남동구 논현동 청년창업지원주택 사업(1만1118㎡, 240세대)의 경우 주민 반발에 부딪혀 착공조차 하지 못했다. 지난달부터 해당 터에서 집회를 이어가는 논고개마을발전협의회는 20일 LH의 착공을 막았다. 임대업이 많은 지역 특성상 임대주택이 들어서면 생업에 타격을 받는다는 게 반대 이유다.
미추홀구 용현동 청년창업지원주택 `드림촌'도 엇비슷한 상황이다. 인천시는 용현동 664의 3 일대 7617㎡ 부지에 대해 도시개발조합에서 기부채납을 받아 청년창업지원주택 200호를 세우려는 계획을 세웠다. 2017년 국토교통부 창업지원주택 공모에 선정돼 국비 220억원도 확보했다. 그러나 `임대주택' 꼬리표 탓에 인근 주민들은 사업부지 변경을 요구하고 있다. 2022년 준공을 목표로 했지만, 주민 반대로 실시설계조차 끝내지 못한 상태다. 이들 사업의 부지를 바꾸려면 사업 자체가 불투명해질 수밖에 없다.
아무리 임대주택이 `저소득층 이미지'라곤 해도, 서로 절충점을 찾는 노력이 아쉽다. 우선 주민들의 양보와 배려를 촉구한다. 주민들은 재산 가치 하락을 걱정하지만, 기우에 그칠 공산이 크다. 지자체에서 청년 창업가들을 엄선하는 등 각종 대책을 마련하고 있어서다. 가뜩이나 우리 청년들이 취업과 주택구입 등에 어려움을 겪는 형편에서, 이들을 도와주지는 못할망정 재를 뿌리는 일은 하지 말아야 한다. 시와 공사 등의 당국도 주민들에게 청년창업지원주택의 취지를 설명하고 이해를 구하는 게 순서다. 주민들을 잘 설득해 사업이 받아들여질 수 있는 방법을 찾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