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내항은 지난 45년 동안 국가 산업항으로 큰 역할을 했다. 그 이면에는 소음과 분진 속에서 살아야만 했던 주변지역 주민들의 커다란 희생이 있다. 대형화물차가 도심 속을 질주하고, 도시 환경은 최악의 상태로 떨어졌다. 무역항이라는 특수성에 개발은 규제됐고, 주변지역은 슬럼화했다.
이런 고통에 시달리던 주민들은 2007년 국회에 내항재개발 촉구 청원을 했고, 인천내항은 항만재개발지역으로 고시됐다.
기름값이 폭등하던 1980년대 초 선박의 대형화로 새로운 항만시설이 필요했다. 선진국은 보다 큰 신항만을 건설하면서 기존 부두를 재개발하기 시작했다. 재래 항만은 변화된 물류환경에 더 이상 대응할 수 없었던 탓이었다.
우리나라도 늦긴 했지만 2000년 초반부터 부산 북항이 먼저 항만재개발에 나섰다. 그러나 인천은 영종도 준설토 예정부지까지 재개발 대상으로 고시해 시민들의 분노를 샀다. 시민들은 영종도 준설토 부지를 취소하고 내항에 고시하라고 다시 국회에 청원을 했고, 정부는 이 청원을 받아들였다.
2001년 제1차 전국항만기본계획에는 2020년까지 부산과 인천 신항에 각 30선석을 완공하기로 돼 있다. 현재 진행상황을 보면 부산은 계획대로 착착 진행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로 15개 선석을 건설할 예정이다.
반면 인천 신항은 이제 겨우 6선석만 건설됐을 뿐이다. 재래부두인 내항 하역사들이 `물동량은 없는데 신항 건설 속도가 너무 빠르다'고 발목을 잡았다. 인천 신항에 내려온 예산마저 부산으로 가고 말았다.
부산에서도 똑같은 일이 벌어졌었지만 과감히 밀어붙여 예정대로 진행 중이다.
인천내항재개발은 13년 동안 지루한 용역으로 피로감만 쌓고 있다. 기본구상, 타당성, 기본 및 실시설계, 1·8부두재개발 등 숱한 용역을 했으나 항만 이해당사자들의 반발로 아직 한발짝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기존 항만기득권 세력들이 인천항의 미래를 발목잡고 있는 것이다. 인천 신항 개발이 빠르다 하고, 내항재개발도 일부분만 하라고 한다. 인천항이 마치 자기들 것인 양 기득권 행세를 하고 있다. 인천내항은 현재 가동률이 40%초반 밖에 안 된다.
인천항은 인천의 소중한 자산이지 몇몇 사람들의 소유물이 아니다. 인천의 물류산업은 더 혁신해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 경쟁력이 없는 내항은 조속히 항만재개발에 들어가야 한다. 해양수산부나 인천항만공사도 재개발을 할 수 있게끔 단호하게 정리해줘야 한다.
항만재개발의 방향은 해양문화복합항만 개발이어야 한다. 화물선이 나간 곳에 여객, 마리나, 해양레저 등을 도입해야 한다.
수역 부분의 이용을 막으면 사업성이 나올 수가 없다. 1·8부두 사업자 공모를 여러 번 했지만 매번 유찰이 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인천내항은 정온수역으로 마리나 항만으로는 최적지다. 이런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요트 한 척도 못 들어오게 하는 항만재개발이 도대체 전 세계에 어디에 있는가?
중구 주민들은 대안 없는 국제여객터미널을 반대했다. 내항에 한중간 쾌속선을 도입해 일일생활권 조성을 바랬다. 내항서 중국연안까지 3~4시간 걸리는 쾌속선이 운항되면 인적 물적 교류의 활성화로 인천에 큰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골든하버(남항국제터미널)는 카페리와 대형크루즈의 전용부두로 활용하고, 내항은 쾌속선과 해양문화를 즐기는 공간이어야 한다. 골든하버는 해수부나 인천시의 제안이 아니라 항만의 이해당사자들과 인천항만공사의 제안이었고, 그 부지가 남항의 배후물류단지이다.
과도한 부지를 골든하버로 내주면 남항의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골든하버는 사업성이 없다'고 기획재정부가 두 번이나 반려했는데도 인천항만공사가 재신청해 통과됐다. 내항의 수변 이용계획을 골든하버 지역으로 빼내서 내항재개발의 사업성을 낮추고 지연시키고 중단시키기 위해서였다.
항만재개발은 무역항으로 단절된 바다를 다시 소통의 공간으로 만드는 일부터 출발해야 한다. 바다의 이용계획을 잘 짜야만 육역부분도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 긴 안목으로 마스터플랜을 만들고 단계별로 추진해야 한다.
항만 이해당사자들은 부디 인천 신항에서 꿈을 펼치길 바란다. 계획대로 조기 확장해 동북아의 거점항만으로 키워야 한다. 내항은 조속히 항만재개발에 들어가야 한다. 새로운 계획안이 나올 때까지 윤진숙 전 해수부 장관이 약속한대로 1·8부두를 우선 개방할 것을 촉구한다.

 


김상은 (사)내항살리기 시민연합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