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우섭(66) 전 남구청장은 지역 정치인을 키우는 길을 걷기로 했다. 4·15총선 경선에서 청와대행정관 출신의 예비후보에게 고배를 마신 뒤 마음먹은 각성의 행보다. 오는 5월 중순부터 8주 과정의 강좌를 열 계획이다.


그는 기초단체장이나 기초의원을 꿈꾸는 청년들과 자신의 경험을 공유해 참다운 지방자치가 무엇인지 길을 찾는다. 닦아야할 소양과 전문성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도 서로 고민한다. 일반 시민 강좌에서는 정치현실을 바로 보는 힘을 공유한다. 사람과 공간의 건전한 관계성에서 지역 정치인을 키워야 한다는 취지에서다.


나랏일을 하는 국회의원에게 필요한 덕목은 정치적 신념이나 가치 말고도 지역에 대한 천착이다. 지역구 국회의원의 기반은 마땅히 그 지역이다. 유권자는 깊이 있고 수긍할만한 지역 개발 공약을 들고 나온 후보자에게 한번이라도 더 눈길을 주기 마련이다. 그런 공약은 지역 주민과의 부단한 접촉 속에서 나온다. 그런 공약을 내건 정치인이야말로 변치 않고 오래 가는 법이다.


4·15총선은 그렇지 못했다. 코로나19에 가려 정책이고, 공약이고 없었다. 쓸 만하다 싶은 기초단체나 광역단체의 정책을 베끼고 우려먹었다. GTX-B노선의 조기착공이 선거판에 난무하고 소각장 신설을 놓고 같은 민주당 후보자간에도 `된다'와 `안 된다'로 엇갈린 이유도 여기에 있다.


특권의식에 갇힌 중앙 정치권은 지역 정서를 아랑곳하지 않았다. 더불어민주당의 동구미추홀구을 선거구였다. 미래통합당의 동구미추홀구갑·을과 서구을도 마찬가지였다. 이 지역 양당 후보들은 결국 낙선했다.


후보자들은 경쟁 후보자의 비방과 흑색선전으로 표심을 자극했다. 인천 지역구 당선인 13명 가운데 7명이 선거관리위원회나 상대 후보로부터 고소·고발됐다. 우선 당선부터 시키고 보자는 식의 선거캠프 관계자의 과잉충성과 줄서기도 한몫했다. 자치단체장이나 광역·기초 의원의 공천에 국회의원의 입김이 작용하는 탓이다.


젊고 새로운 피로 밑에서부터 구태 정치를 갈아치워야 한다는 게 중론이다. 그러려면 젊은 정치인이 진입할 수 있는 공천기준이 전제돼야 한다.


이준한 인천대 교수는 “기초와 광역의회의 젊은 다선 의원들을 정기 평가해 검증 없이도 자치단체장이나 국회의원으로 공천하는 정당별 누진적 가산점제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정환 기자 hi21@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