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의 날 특집 인터뷰 ⑴ - 점자 작품 30년 문재원 작가

“백남준아트센터 기획전서 `오즈의 마법사' 공개
“동명영화 점자로 표현 시각·촉각 동시감상 가능

“문화·인종·젠더 등 수학적 접근하려 레고 사용해”
“4차 산업혁명 통해 다양성 이해…일상도 바뀔 것”

보는 영화가 아니다. 이것은 만지는 영화다.

문재원(사진) 작가가 백남준아트센터의 올해 첫 기획전시 `침묵의 미래전:하나의 언어가 사라진 순간'에서 공개한 신작 `오즈의 마법사'는 보는 작품이면서 동시에 만지는 작품이다.

▲ `오즈의 마법사'
▲ `오즈의 마법사'

문 작가의 작품 `오즈의 마법사'는 1939년 빅터 플레밍 감독의 영화 `오즈의 마법사'의 한국어 스크립트를 점자로 나타내 시각 뿐만 아니라 촉각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5만개의 레고와 소호 브릭이 사용됐다.

그는 19일 인천일보와 서면인터뷰를 통해 이번 작품의 작업이 비장애인들에게는 추상화처럼 느껴지고 장애인들에겐 손끝으로 읽는 자막이 된다고 밝혔다.

“점자 언어가 만들어 내는 패턴에 매료돼 점자를 사용한 작업을 30년간 해왔죠. 한국에서도 비장애인과 장애인이 동시에 감상할 수 있는 작품이 소개되면 좋겠다 싶어 완성한 작품입니다.”

5만 개의 레고 브릭이 만들어 낸 한 편의 영화, `오즈의 마법사'는 1974년 제작된 백남준의 작품 `전자-초 고속도로:미국 대륙, 하와이 알래스카'에서 영감을 얻어 만들어졌다. 미국 각 주의 문화적 정체성을 취지로 336개 TV 브라운관을 설치하고 네온으로 지도형태를 만들어 낸 이 작품에는 `오즈의 마법사' 영상이 다뤄졌다.

“이 작품을 보면서 디지털 네트워크가 사람과 사람, 문화와 문화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이 되리라 판단했습니다. 시각적이고 순간적인 미디어 아트의 본질에 의문을 제시하며 만져서 읽기도 하고 감상할 수 있는 것으로 재해석해 보자는 취지가 담겼죠.”

문 작가가 작품의 재료로 레고와 소호 브릭을 사용한데는 특별한 의미가 있었다.

“1990년 뉴욕으로 오게 되면서 다문화적, 인종적, 젠더 정체성에 많은 관심이 들었습니다. 인종이 서로 부대끼며 사는 뉴욕의 멜팅 팟(melting pot)을 경험하면서 저의 정체성을 개별적인 문화와 인종 등을 인문학적 접근으로 볼 것이 아니라 공통분모를 발견할 수 있는 수학적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었습니다. 그렇기에 수학적 원리를 기반으로 한 레고는 정치적, 문화적, 사회적 개인적 성향을 배제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춘 완벽한 재료였죠.”

그는 4차 산업혁명의 도래가 보편적 다양성을 양산하고 평등의 연결 교차점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거라 확신한다.

“디지털 혁명, 인공지능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확장된 우리의 사고로 미래에는 비장애인과 장애인이라는 경계는 분명 무너질거라 생각합니다. 글로벌 시대에 인종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듯이 앞으로 인간은 4차 산업혁명을 통해 더 학습될 것이고 더욱 더 창의적이고 자유로운 다양한 소통과 감상의 방법을 발견함으로써 우리의 일상도 변화되리라 생각합니다. 이런 다양성의 이해는 인간에게 많은 가능성과 희망을 부여할 것이며 결국 장애인과 비장애인이라는 관점도 하나의 다양성으로 이해되고 존중하게 될 것이라 믿습니다.”

한편, 백남준아트센터 `침묵의 미래전:하나의 언어가 사라진 순간' 전시는 2월27일부터 6월28일까지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사태로 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선공개됐다.

/박혜림 기자 hama@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