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가 남긴 유산이 4·15 총선 결과를 갈랐다. 또다시 촛불민심이 살아있음을 입증했다.
세월호는 우리 사회에 '사회적 책임'을 화두로 제시했고, '어른'을 돌아보게 했다. 또 '안전한 대한민국'을 꿈꾸게 했다.

이 기조는 정부의 코로나19 위기극복 역량과 재난기본소득으로 이어지며 이를 실행하는 문재인정권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민주당의 주장이 유권자에게 통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지역구 163석과 비례정당 격인 더불어시민당 17석을 합쳐 180석을 얻은 반면 미래통합당은 지역구 84석과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 19석을 합쳐 103석에 그쳤다.
당초 코로나19가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기 전까지만해도 이번 총선은 문재인 정부의 중간 평가이자 고용·부동산·경제 정책에 대한 심판의 성격이 우세할 것으로 전망됐다.

통합당 역시 방역 실패에 따른 확진자 및 사망자 수 증가를 지적하며 문재인정부를 집중적으로 공격했다.
부동산 규제 강화와 각종 경제 지표 부진 등으로 문 대통령에 대한 국정지지도도 고전했다. 또 고용 상황 악화, 남북관계의 교착 상태, 대통령 측근(조국 전 법무부 장관) 스캔들 등의 악재가 터지면서 대통령 지지율이 하락하고 여당의 선거 전망이 밝지 않았다. 코로나19 발발 초기에는 정부가 위험을 과소평가했다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이때문에 부정여론이 긍정 여론을 앞지르기도 했다.
하지만 총선 국면이 본격화하면서 이런 전세가 역전됐다.
우리나라의 확진자 증가세가 주춤하고 다른 나라에선 사망자가 급격히 늘어나며 "정부가 비교적 잘 대응했다"는 여론이 형성됐기 때문이다.

코로나19 대응 초기의 논란을 넘어 강력한 방역 대책과 이에 대한 국제사회에서의 호평에 힘입어 문재인 정부에 대한 국정지지도가 반등했다. 정부가 대대적인 진단검사를 실시하고 확진자를 격리하면서 상황이 역전됐다.
여기다 민주당이 '긴급재난 지원금'을 카드로 꺼내든 게 결정적인 '한 방'으로 작용했다. 총선 직전엔 1년 수개월만의 최고 기록을 달성하기도 했다.

이같은 코로나19 대응과 재난지원금은 '국가의 책임'이 깔려있다.
주요 외신들은 "더불어민주당은 '코로나19 극복'을 선거 구호 내세웠고, 미래통합당은 '정권 심판'을 외쳤는데 민심은 집권당 쪽으로 기울었다"며 "문재인 정권의 코로나19 사태 대응에 대한 한국 국민들의 신뢰를 상징한다"고 했다.

/최남춘 기자 baikal@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