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얼마 전 영종도와 육지를 잇는 세 번째 교량인 제3연륙교를 연내 착공한다고 밝혔다. '제3연륙교 착공'은 인천시에 의해 10여년 전부터 자주 등장하는 메뉴다.

하지만 계속 공수표로 매듭됐으나, 이번에는 구체적인 일정을 제시했다. 시는 행정절차와 실시계획 인가 등을 거쳐 오는 12월 공사를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사기간을 최대한 단축해 2025년 하반기에 완공한다는 말도 곁들였다. 늘 그랬듯이 이번에도 변수가 떠올랐다.

제3연륙교는 지난 2006년 당시 영종·청라국제도시 택지 조성원가에 5000억원을 포함시켜 사업비가 이미 확보된 상태다. 쉽게 말해 영종·청라국제도시 주민들이 부담한 것이다. 그러나 제3연륙교 개통으로 통행량이 줄어들 것으로 보이는 공항고속도로와 인천대교의 통행료 손실을 누가 얼마나 부담할지를 놓고 인천시와 국토교통부, 민간사업자 간에 이견을 보여 착공이 계속 미뤄졌다. 2012년에는 송영길 시장이 '선 착공, 후 (국토부) 협의'라는 비상식적인 해법을 제시하기도 했다. 결국 흐지부지돼 구상에 불과했음을 스스로 고백한 셈이 됐다.

이번에도 손발이 안맞는 일이 빚어지고 있다. 국토부는 인천시의 제3연륙교 연내 착공 방침에 대해 회의감과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제3연륙교 착공에 앞서 공항고속도로·인천대교 손실보전에 대한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같은 점을 지난달 말 공문을 통해 인천시와 인천경제청에 전했다고 한다. 나아가 국토부는 시가 합의하지 않고 제3연륙교 사업을 추진하면 인·허가에 협조하지 않겠다고 강조한다.

인천시가 구체적인 착공· 완공 일정을 밝히기 전에 당연히 공항고속도로·인천대교 손실보전 합의를 봤어야 했다. 시가 자신있게 향후 로드맵을 밝혔기에 합의가 이뤄진 것으로 판단한 사람들이 적지 않다. 그런데 그게 아니었다니 어리둥절할 뿐이다.

제3연륙교 건설은 국토부의 승인없이는 진행되기 힘든 사업이다. 이번에 시가 또 다시 말을 앞세우다 스타일을 구긴 꼴이 됐다. 언제까지 이런 일이 이어질지 지켜보는 시민들이 답답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