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18세 선거권 도입
정치중립 교실서 논쟁상황 경험해야
대립 아닌 존중·불평보다 실천 배워
참여의식 높이고 민주시민 길러낼
'보이텔스바흐 원칙' 적용사례 소개
▲ 보이텔스바흐 수업연구회 지음, 학교도서관저널, 236쪽, 1만6000원


독일의 정치교육과 전 세계 민주시민교육의 규범으로 자리 잡고 서울형 민주시민교육 논쟁 수업의 기반으로 국내에 소개된 보이텔스바흐 원칙. 인천시 교육현장의 초·중·고 교사들과 교육청 교육연수부장·장학사들이 이 원칙을 우리 현실에 맞게 수업 모형으로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한 경험을 담았다.

교실에서 아이들과 했던 논쟁 수업의 생생한 10가지 사례와 31가지 주제를 소개하는 이 책은 개념과 외국 사례 소개가 주를 이룬 민주시민교육의 담론을 현장으로 가져왔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깊다.

특히 만 18세 선거권 도입으로 달라지는 교실에서 정치적 중립이라는 전제 아래 논쟁적 상황 자체를 외면한다면 교육은 제 구실을 다할 수 없다. 학교가 열린 사고의 안전지대가 되어줄 때 학생은 비로소 민주시민으로 성장해갈 수 있다. 교실에서의 정치교육·민주시민교육으로 우리 아이들의 자유로운 토론과 참여 의식을 고취시키는 데 시기적절한 수업을 보여준다.

교실 수업에서는 아이들의 삶과 연결되는 내용, 다양한 의견의 존중, 근거에 입각한 합리적 사고력, 실천적 행위 역량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보이텔스바흐 수업의 논쟁 학습을 통해 아이들은 참여와 실천을 배운다. '이것이 정답이다'라는 주입식의 교육과 '이렇게 해야 바른 것이다'라는 강압적인 교화에서 벗어나 현재의 문제를 수업시간에 학생 스스로 치열하게 고민하게 하면서 공부가 자신의 삶, 그 자체가 될 수 있게 도와준다.

이 책은 통일된 미래를 살아갈 아이들을 위한 지침서 역할도 한다. 대립이 아닌 존중을, 불평이 아닌 실천을 가르쳐주는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 동독과 서독의 갑작스런 통일은 여러 분야에서 혼란을 불러왔는데 교육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보이텔스바흐 원칙은 이러한 혼란에서 등대 역할을 해주었고, 건강하게 열려 있는 논쟁 학습을 통해 아이들은 사고와 가치의 성숙을 경험할 수 있었다.

'보이텔스바흐 합의(Beutelsbacher Konsens)'는 1976년 서독의 보수와 진보를 망라하는 교육자, 정치가, 연구자 등이 독일의 소도시 보이텔스바흐에 모여 정립한 교육지침이다. 좌우 진영 관계자들은 치열한 토론 끝에 이념과 정권에 치우치지 않는 교육을 목표로 하는 교육지침을 마련하고, 정치교육의 원칙에 대해 합의했다. 본래 학교 정치교육의 지침으로 만들어졌으나 모든 공교육 영역으로 확대 적용되어 독일 정치교육의 헌법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보이텔스바흐 수업연구회는 민주시민으로 성장할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고민하는 교사들의 모임이다. 2016년 8월 한스 자이델 재단의 초청으로 독일 정치교육원을 방문하면서 보이텔스바흐 원칙을 접하게 됐고, 보이텔스바흐 원칙이 독일 학생들의 민주시민의식 형성에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게 됐다. 이 연구회는 그 이후 보이텔스바흐 원칙을 우리나라 교실에 적용할 수 있도록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한 생생한 사례를 관심 있는 선생님들과 공유해오고 있다.

강구섭(전남대 교수), 김경옥(인천장수초 교사), 배수아(인천시교육청 장학사), 유충열(인천시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연수부장), 윤수정(인천석천초 교사), 윤자영(인천공항고 교사), 장준철(동인천고 교사), 최윤아(인천동양중 교사), 최은미(인천시교육청 장학관), 최찬혁(인천동막초 교사) 등이 저술에 참여했다.

/여승철 기자 yeopo99@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