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 속에 4·15총선의 후보 등록이 끝나고 본격 선거체제로 돌입한 가운데 부천지역에는 또 하나의 화두가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 7월부터 전국에서 유일하게 시행된 광역동 행정체제에 대한 존폐 문제이다.

부천시의 광역동은 기존의 36개 행정복지센터를 10개의 광역동(행정동)으로 만들어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부천시선거관리위원회가 4월 10~11일 실시되는 사전투표의 투표소를 10곳으로 지정해 발표하면서 사달이 났다. 읍면동에 사전 투표소 한 곳을 설치한다는 선거법에 근거하다 보니 20대 총선에서는 36곳이던 사전 투표소가 10곳으로 줄어든 것이다.

사전투표에 유리한 것으로 보이는 더불어민주당이 발끈했다. 당장 더불어민주당 4개 지역위원회 위원장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선관위의 결정을 규탄했고 이어서 예비후보들도 선관위를 방문해 36곳으로 설치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전달하기도 했다.

반면 미래통합당은 4개 지역위원장들이 모여 민주당의 주장을 반박하고 책임은 광역동 행정체제를 만든 부천시에 있다면서 문제해결을 촉구했다.

이런 가운데 여야가 지금까지 광역동을 놓고 보여온 복잡한 셈법이 작용해 광역동 개혁의 정당성 문제로 옮겨붙었다.

부천시의회에서도 광역동 문제가 화두가 됐다. 사전투표소뿐 아니라 선거 현수막 축소와 선거 사무원 축소 등 문제 외에도 광역동 출범으로 인해 그동안 지적돼왔던 주민등록 전입신고 불편과 인감 신규 신고와 변경, 대형 폐기물 배출 신고 불편 등의 문제가 같이 불거졌다. 여당 의원들은 시행을 하면서 보완해야 한다고 촉구했고, 야당 의원들은 폐해를 지적하며 광역동 폐지까지 주장하고 나섰다.

광역동 문제는 이제 총선이 본격화되면서 여야 간의 큰 대결로 비화했다. 지난 23일 미래통합당 공천을 받은 4명의 후보가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공약 1호로 광역동을 폐지하고 3구 36동 체제를 부활시키겠다고 주장했다. 다른 지자체에서 실패한 행정제도를 부천에서만 시행한다면서 행정효율은 악화하고 시민 불편과 불화를 일으키니 본래 체제로 돌아가자는 것이다.

이에 대해 부천시와 여권은 광역동 시행으로 현장 행정이 원활해지고 보건·복지 서비스가 강화됐다면서 문제점은 정부와 경기도, 선관위와 정치권과 협의를 하며 개선을 통해 보완한다는 입장이다. 불편한 민원분야에 대해서는 '광역동 후속 조치 TF팀'을 구성해 개선책을 계속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직 1년이 되지 않았으니 시행을 하면서 긍정요인은 적극 살리고 제도는 보완해 나갈 것이라며 광역동 시행에 변함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선거가 다가오면서 광역동 문제는 유권자의 의견을 물어 결정되는 형국이 됐다. 여당이 승리하면 광역동은 그대로 시행되는 것이고, 야당이 승리하면 그들의 공약대로 구청 체제와 36개 동 복원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코로나19에 눌려 '소리 없는 선거'가 이어지고 있다는 이번 총선에 부천은 광역동 존폐 문제가 불거지면서 뜨거운 공방이 벌어지게 됐다. 판단의 몫은 유권자에게 돌아갔다.

김진원 경기서부취재본부 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