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교의 4월 6일 개학은 현장 등교 대신 온라인 개학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코로나19의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100명 안팎으로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 개학을 강행할 시 대규모 감염 위험이 있어 등교가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그러나 이미 3차례 개학이 연기된 터라 학생들의 학습권 피해와 학사 일정 차질이 불가피하다. 교육부는 뒤늦게 온라인 개학을 대책으로 내놓았지만 인적·물적 인프라 구축의 한계로 벌써부터 많은 우려를 낳고 있다. 감염병 관련 조치는 정부의 시책을 따라야 하는데 여론의 눈치를 보며 개학만 미루던 교육부가 뒤늦게 온라인 학습을 준비하며 우왕좌왕하고 있다. 교육부의 지침에 따라 경기도교육청도 30일까지 가정 내 스마트기기 등 온라인 학습 환경을 조사한다고 하니 대처가 늦어도 너무 늦었다.

교육부는 온라인 개학 대비 원격교육선도학교를 30일부터 운영한다. 그러나 대다수의 학교는 아직 준비가 돼있지 않다. 학교 내 공용 와이파이, 교무실 컴퓨터에 웹캠과 마이크 등 온라인 수업을 위한 인프라가 마련되지 않은 곳이 부지기수다. 온라인 수업을 진행한다고 해도 실시간 강의는 불가능하다. 사전에 교사가 녹화한 영상을 보면서 학생들은 일방향 수업을 스스로 한후 과제를 실행해 업로드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부모가 온라인 수업을 함께 듣고 지도하지 않으면 수업을 따라가기 어렵다. 이 때문에 초등 저학년을 둔 맞벌이 부부의 경우 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자녀 돌봄의 부담이 또 한번 가중된다.

디지털 격차도 문제다. 일부 영재고와 특수목적고, 사립초·중학교에서는 3월부터 자체 온라인 수업을 운영해 온 것을 보면 지역별·학교별 디지털 격차는 이미 벌어진 상태다. 교사들의 정보통신 활용 능력도 천차만별이다. 현장 수업의 부재를 메울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은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이지만 이같은 수업이 가능한 교사와 학교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학교는 소수다.

교육당국은 이번주 온라인 수업 시범운영 학교들의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수업 결과를 정확히 평가해 각종 문제를 최소화해야 한다. 시나리오별로 대책을 세워 디지털 격차를 줄이고, 학습 공백을 최소화하는데 진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