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원혜영 5선 의원의 불출마 선언으로 수 십여 년 만에 '새로운 얼굴'이 등장하게 된 부천정 지역구의 관전 포인트는 올해도 진보정당이 사수하느냐 혹은 보수정당의 기념비적인 첫 승리가 이뤄지느냐다.
 
앞서 열린 15대 총선에서 신설된 부천오정(현 부천정) 지역구는 약 30년간 보수정당이 연거푸 패배할 정도로 진보세가 강한 곳이다.
 
치열한 내부 경선에서 승리하고 원 의원 후계자라는 타이틀을 거머쥔 서영석 후보는 기세를 몰아 주민에게 인정받고 지역을 수성하겠다는 입장이다.
 
지난 17대부터 20대 총선까지 원 의원을 도와 선거대책본부장을 맡은 서 후보는 이미 그 정신을 이어 받았다는 평을 받는다. 서 후보 역시 '바통을 이어 받았다'고 주장하며 본선 승리를 자신했다.
 
이에 맞서 미래통합당은 연세대학교 교수 출신 안병도 후보에게 다시 한 번 힘을 실어주기로 했다. 앞서 열린 지난 19·20대 총선에 출마한 바 있는 안 후보는 당시 원 의원에게 밀려 모두 패배한 아픈 기억이 있다.
 
다만 원 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한 올해만큼은 상황이 바뀌었다는 게 통합당 내부 결론이다. '해볼 만한 싸움'이 됐다는 안 후보는 칠전팔기 정신으로 부천정 지역구에 보수정당 깃발을 꼽고 새 역사를 쓰겠다는 각오다.
 
여기에 정의당 구자호 후보도 출사표를 던지면서 치열한 3자 대결 구도가 완성됐다. 안 후보와 마찬가지로 지난 총선에서 원 의원에게 패배한 구 후보 역시 올해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후계자와 도전자간 맞대결, 변수는 민주당 경선 잡음
 
부천정 지역구는 지역 터줏대감 후계자와 포기를 모르는 도전자간 맞대결이라는 점에서 관심이 쏠린다.
 
그간 5선에 성공한 원 의원이 지역 내 탄탄한 지지세력을 구축해놓은 만큼, 서 후보가 이를 제대로 흡수할 수 있다면 비교적 유리한 고지에서 출발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서 후보는 "그간 지역을 위해 헌신한 원 의원을 보고 배운 진정한 후계자"라고 자처하며 "이를 토대로 지역 발전을 이뤄내겠다"고 강조했다.
 
세 번째 도전에 나선 안병도 후보 역시 그동안 지역에서 꾸준히 얼굴을 비추며 늘린 지지세력은 분명 긍정적인 요소다. 실제 19대 총선에서 2만3328표를 얻은 안 후보는 20대 총선에선 2만4710표를 획득하며 원혜영 의원과 격차를 조금 줄이는데 성공했다. 정권심판론을 내세우는 그는 "장기 집권을 반드시 무너트리겠다"고 다짐했다. 구자호 후보도 '신도시'와 '환경' 문제 등 지역 내 주요 현안에 초점을 맞춘 공약으로 유권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다만 가장 큰 변수는 민주당 경선 과정에서 발생한 잡음이다. 앞서 서 후보는 김만수 전 부천시장과 정은혜 의원(비례)과의 경선에서 접전 끝에 승리했다. 문제는 이 결과를 두고 뒷말이 무성하다는 데 있다. 현재 김만수 예비후보 지지자들은 서 후보의 과거 음주운전 등의 전과를 문제 삼으며 후보 교체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이를 두고 지역 정가 관계자는 "내홍을 겪는 부천정 지역구가 시끄러운 건 사실"이라며 "이를 제대로 봉합하지 못한다면 민주당 텃밭이라는 인식도 분명 크게 흔들릴 것"이라고 평가했다.
 
▲뜨거운 감자, '광역동' 체제에 대한 생각은
 
오는 4·15 총선을 앞두고 부천시 광역동 체제에 대한 폐지 논란이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다.
 
지난해 7월 부천시가 도입한 광역동 체제는 기존 36개 행정동을 10개 광역동으로 축소한 것을 말한다. 쉽게 말해 주민센터 3~4개를 합쳐 더 큰 역할을 하는 광역동을 만든 셈이다.
 
이는 행정처리 과정에서 불필요한 중간단계를 없애 효율성을 높인다는 장점이 있지만, 한 편으론 일부 주민센터가 없어졌다는 점에서 주민 불만을 야기한다.
 
현재 통합당 안병도 후보는 '광역동 전면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 그는 기존 36동 체제로 다시 되돌려야만 주민 불편을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반면 서영석 후보와 구자호 후보는 전면 폐지보단 '일부 개선'이 더 합당하다는 입장이다. 서 후보는 "광역동으로 전환하면서 접근성 문제 등을 토로하는 시민들이 있다"며 "이 같은 부분은 분명 개선해야 할 문제"라고 꼬집었다. 구 후보 역시 "광역동은 당초 지역 내 공무원 인사 문제를 해소하고자 도입한 것"이라며 "막상 시행해보니 수정 보완해야 할 문제가 다수 발견됐다. 당장 오는 총선에서도 사전투표소가 사라지는 등 손을 봐야 할 게 많다"고 설명했다.

/임태환 기자 imsens@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