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국회의원 선거구가 희한하다. 선거 때마다 지역을 이리 붙였다가 떼었다가, 다시 저리 붙이는 변화가 무쌍해 헷갈려 하는 주민들을 위해 간추린 변화도가 필요한 상황이다. 인구 상·하한선에 맞춰 선거구를 획정하는 과정에서 빚어진 것이라고 선거관리위원회는 설명하지만, 납득하는 사람이 별로 없다. '게리맨더링'(특정 정당이나 특정 후보자에게 유리하도록 선거구를 정함)의 변종이라는 지적마저 나온다.

인구가 적어 단독 선거구가 될 수 없었던 강화군은 15대 총선 당시 계양구와 묶어 '계양·강화갑', '계양·강화을'로 분류됐다. 16대 총선에서는 계양구가 단독 선거구가 되면서 강화군은 다시 서구에 붙여져 '서·강화갑', '서·강화을'로 조정됐다.

20대 총선에서 강화군은 또 다시 서구에서 분리돼 '중구·동구·옹진군' 선거구에 편입됐다. 무려 4개 지방자치단체가 하나의 선거구로 묶인 것이다.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 은 인천 13개 선거구 중 하나에 불과하지만 면적은 인천의 70%에 달한다.

이들 자치단체는 인구가 적다는 공통점만 지녔다. 중구와 동구는 인접해 생활권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지만, 강화군과 옹진군은 섬으로 구성된 지자체여서 생활권이 완전히 다르다. 강화와 옹진도 서로 멀리 떨어진 데다 연결 교통망이 전혀 없어 동일생활권으로 보기 어렵다.
4·15 총선을 앞두고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 선거구에서 동구를 빼 '미추홀구'에 포함시키는 획정안이 7일 국회를 통과했다.

이에 대해 시민들은 "4년 전에 강화군을 중구·동구·옹진군에 붙여 말도 안되는 선거구를 만들어 놓더니 이번에는 동구를 떼어내 미추홀구에 붙였다"며 고개를 젓고 있다. 단순히 인구수만을 기준으로 선거구를 획정해서는 안된다는 주장이 인천뿐 아니라 전국 각지에서 제기되고 있다.

선거구는 인구 외에 지리적·사회적·문화적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획정하는 것이 정상이며. 자치분권과 지역균형에도 부합된다. 그럼에도 마치 아이들이 장난감 다루듯이 붙였다, 떼었다를 되풀이하는 것은 정치적 의도를 의심받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