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지역의 감염병 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해 구성된 '수도권 감염병 공동협의회'가 유명무실한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인천·경기·서울이 광역적 대응이 필요한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역학조사와 방역 조치 등을 공동 수행하기 위해 2017년 출범한 광역협의체다. 그러나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맞아서는 아무런 존재감을 나타내지 못했다고 한다. 세계화 네트워크를 통해 번져가는 감염병에 이제 지자체별 경계선은 별 의미가 없게 됐다.

인천·서울·경기 수도권 3개 시도는 감염병을 예방·관리하고 발생 사례를 공유하기 위해 2017년 3월부터 수도권 감염병 공동협의회를 구성해 운영 중이다. 2015년 발생한 메르스 사태처럼 신종 감염병이 지역 경계 없이 빠르게 퍼져 지자체의 개별적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3개 시도는 이 협의회를 통해 감염병 발생시 확진환자와 의심환자 정보를 공유하는 공동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인적·물적 지원도 협의키로 했다. 평상시에는 비상시의 사전 협력체계 구축 차원에서 반기별로 정기회의를 개최해 왔다.

그러나 정작 코로나19 사태를 맞아서는 아무런 기능을 발휘하지 못했다고 한다. 지난달 20일 인천에서 국내 첫 확진자가 나온 지 한달이 넘었음에도 회의 개최도, 역학조사나 방역 등의 공동 대응도 없었다.
지난 16일 판정을 받은 30번 확진자의 경우만 봐도 수도권 지역내 공동 대응이 아쉽다는 지적이다. 30번 확진자는 주로 서울에서 활동했지만 인천 중구 용유도와 경인아라뱃길 등을 방문하는 등 수도권 내에서 광범위한 이동 동선이 확인됐다. 이런 상황은 3개 시도가 신속히 이동 정보를 공유하고 공동 방역에 나설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25일에는 대구 지역의 확진환자 1명이 인천의 감염병 전문진료병원으로 이송돼 입원했다. 대구 지역의 음압병동이 부족해 현재 입원 확진자가 1명인 인천으로 옮겨진 것이다. 이처럼 비상한 시기에는 지자체별 경계를 넘어 공동 대응해야 한다. 특히 수도권은 2500만 주민들의 동일 생활권역이나 마찬가지다. 공동협의회의 발족 취지를 살려 보다 효과적인 감염병 공동 대응 역량을 키워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