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만 시민에게 '인복'을 드립니다
인천복지재단 전 직원이 출범 1년을 맞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 = 인천복지재단

-인천복지 브랜드화
복지기준선 이행·사각지대 해소 목표
'인복드림' 제시 … 사업 본격화


-시민참여형 보편복지
4월부터 400명 수준 참여단 구성
통합적 정보 제공할 이음센터 설치
민간 사회서비스 일부 공공화 통한
종사자 처우 개선 및 품질 향상도



인천복지재단이 출범 1주년을 맞았다.

지난해 2월19일 설립된 재단은 300만 인천시민의 복지 증진을 목표로 조사·연구, 정책개발, 복지사업 설계, 현장 지원, 시민 교육 등을 진행 중이다.

재단은 '당당한 시민과 함께 풍요로운 인천복지드림(인복드림)'이라는 비전에 맞춰 다양한 활동에 나섰다. 민·관이 소통하는 거버넌스 조직의 새로운 모델도 인천복지재단의 목표다.

유해숙 인천복지재단 대표이사는 "올해는 인복드림을 하나씩 실현시켜 300만 시민 모두가 행복한 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재단이 마중물이 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출범 첫해 재단은 인력을 채용하고 조직 체계를 갖추면서도 8개의 정책 연구과제를 수행하며 시민이 참여하는 사회복지 학습 동아리를 지원했다.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의 지속적인 간담회를 통해 시민과의 소통에도 힘을 쏟았다.

유해숙 인천복지재단 대표이사는 25일 "권리의 주체이자 재정을 부담하는 의무의 주체인 시민이 사회복지의 중심에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복지 철학을 바탕으로 재단은 지난해 9월 인천복지의 브랜드인 '인복드림'을 제시했다. "당당한 시민과 함께 풍요로운 인천복지를 만든다"는 비전이다.

올해로 출범 2년차를 맞은 재단은 '인복드림'을 실현하기 위한 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인복드림의 목표는 복지사각지대 해소와 인천복지기준선 이행이다.

재단은 이를 위한 전략으로 '시민참여형 보편복지' 구상을 꺼내들었다. 시민참여형 보편복지는 세 개의 축으로 펼쳐진다. 인복시민참여단과 인복이음센터, 그리고 사회서비스원이다.

인복시민참여단은 4월부터 400명 참여를 목표로 시범사업이 벌어진다. 하반기 첫발을 떼는 시민 모임을 통해 사회 안전망을 어떻게 구축할지를 토론·학습하고, 복지 정책을 제안하는 기구다.

재단은 인복시민참여단을 읍·면·동이나 사회복지시설에 시범 설치·운영하고, 참여기관을 공모해 지원할 계획이다.

오는 5월 시범사업 대상지가 선정되고, 참여자를 대상으로 7월부터 시민 교육이 열린다.

인복드림의 두 번째 축인 인복이음센터는 복지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기관이다.

시민 참여로 보편복지를 실현하려면 시민이 사회적 위험과 복지 현황을 이해하고, 정부와 지자체에 필요로 하는 복지를 당당하게 요구할 수 있어야 한다고 재단은 설명했다.

그리고 정부와 지자체는 시민의 복지 요구에 응답하는 체계가 갖춰져야 한다는 것이다.

내년 시범 운영을 목표로 하는 인복이음센터는 시민이 처할 수 있는 사회적 위험과 이에 대응하는 공적 서비스를 포괄하는 복지 정보를 제공하고, 서비스까지 연계한다.

재단은 올해 '인복이음센터 설치·운영 방안 연구'를 통해 구체적 설계에 나선다.

인복드림의 마지막 요소는 사회서비스원이다.

문재인 정부의 국정과제인 사회서비스원은 민간에 맡겨진 사회서비스 일부를 공공화하는 구상이다.

보편성을 높이고, 종사자 지위와 처우를 개선해 서비스 품질을 향상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재단은 시민사회와의 공론장을 마련하고, 오는 7월부터 사회서비스원 추진단을 가동해 인천에 맞는 운영 모델을 찾기로 했다.

유 대표이사는 "취임했을 때의 초심으로 돌아가 임기 내에 모든 시민이 인간다운 삶을 누릴 수 있는 인천시를 만드는 초석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유해숙 인천복지재단 대표이사, "5개 영역 적정기준선 마련 … 인간다운 삶 보장"

 

▲ 유해숙 인천복지재단 대표이사
▲ 유해숙 인천복지재단 대표이사

 

"올해는 인천 복지 패러다임의 대전환기입니다. 인천 복지 원년입니다."

인천복지재단이 300만 인천시민과 동행한 지난 1년, 들풀처럼 출범부터 온갖 시련을 겪었다. 인천의 복지 수준을 한 단계 상향시키기 위해 기존 질서와 상당한 충돌도 감내했다.

그리고 시민 앞에 선보인 '인천복지기준선', 인천시민의 보편타당한 행복을 추구하는 이 기준 앞에 민선7기 인천시의 역량이 집중되고 있다.

'살고 싶은 도시' 인천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고, 그에 맞는 '당당한 인천시민'이 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이기 때문이다.

인천복지재단 출범 1년, 그만큼 양적·질적 성장을 바라는 인천시민들의 기대치는 높다. 인천복지재단 유해숙(사진) 대표이사에게 출범 1년의 소회와 앞으로의 각오를 들었다.

유 대표는 힘주어 "시민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복지 인천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또 "재단이 설립되기까지 8년의 시간이 걸렸고 그만큼 재단 구성원 모두는 잘해야 한다, 성공시켜야 한다는 사명감을 안고 있다"며 "재단의 첫 걸음이 인천 복지의 마중물이 될 수 있게 비록 느린 행보지만 한발 한발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제 인천복지의 비전이 세워졌다. 지난 1년을 겪으며 조직도 성숙했다.

유 대표는 "인천의 사회복지 로드맵은 인복드림으로 300만 인천시민 모두가 참여하는 보편 복지를 향해 순항 중"이라며 "이제 인천복지기준선에 맞춰 선별적 복지가 아닌 보편적 복지가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인천복지기준선', 인천복지재단이 세운 복지 적정선이다. 기존의 복지가 최저선에서 선별적·선택적으로 이뤄졌다면, 이제는 300만 인천시민의 맞춤형 복지가 이뤄지는 것이다.

유 대표는 "지난 1년간 재단에서는 인천시민이 인간답게 살기 위한 적정 복지기준을 정하는 '인천복지기준선 설정 연구'와 '사회서비스원 설치 및 운영방안 연구' 등 8건의 정책 연구과제를 수행했다"며 "연구에서 그치지 않고 이러한 정책이 실현될 수 있게 시민이 참여하는 간담회·토론회는 물론 다양한 소통 채널을 통해 의견을 반영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소득·건강·교육·주거·돌봄이라는, 현재 인천에 살고 있는 시민 모두에게 해당되는 5개 영역에서 시민에 맞는 적정 기준선을 마련했고, 이를 인천복지기준선이라 칭했다.

유 대표는 "인천복지기준선은 사회적 위험을 인천시가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에 대한 기준이자 방향과 의지"라며 "개인의 영역이었던 가족 문제를 인천시가 함께 책임을 짊어지겠다는 것"이라는 입장을 나타냈다.

이어 "이를 위해 '당당한 시민과 함께, 풍요로운 인천 복지 드림(인복드림)'이 행해지는 것이고, 민간영역까지 더해 다양한 복지 분야를 인천시가 행해 시민 모두가 복지를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인천형 사회서비스원"이라고 덧붙였다.

인천복지기준선과 인복드림 실현을 위해 인천시민참여단과 인복이음센터, 사회서비스원이라는 세 축이 동시에 추진 중이다.

특히 인복이음센터는 한 번의 상담으로 맞춤형 복지를 실현하는 인천만의 복지시스템이다. 여기에 곧 인천시민참여단 시범사업이 출범한다.

지난 1년을 발판 삼아 앞으로 나아갈 인천복지재단, 유 대표는 재단과 인천 복지의 과제를 '복지공동체'로 정리한다.

유 대표는 "시민들이 대상이 아닌 주체가 될 수 있는 복지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 사회복지계, 학계, 공무원 등과 복지 공감대를 구성하겠다"며 "모두가 함께라면 인복드림은 꿈이 아닌 실천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주영·이순민 기자 leejy96@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