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내 쓰레기자동집하시설을 놓고 벌어지는 말썽이 종합 세트라 불릴 만하다. 송도에는 53.6㎞의 쓰레기 지하수송관로와 7개 집하장이 설치돼 있다. 아파트 단지에서 배출된 쓰레기는 땅속에 묻힌 관로를 통해 지상에 있는 집하장으로 모아 처리시설로 보내진다. 하지만 일반쓰레기와 음식물쓰레기가 하나의 관로를 통하는 방식이라 두 종류의 쓰레기가 섞이면 음식물쓰레기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구는 환경부 권장 방식인 음식물쓰레기 문전수거를 시범 운영하기로 했으나 주민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구는 지난해 6월 민관협의회를 구성한 뒤 8개월째 논의 중이지만, 주민들 간에도 의견이 달라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2015년 12월 연수구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체결한 '자동집하시설 운영관리 협약' 연장 문제다. 예정대로 올해 말 협약이 종료되면 집하시설 소유권은 인천경제청에서 연수구로 이전돼 경제청은 집하시설 문제에서 완전히 손을 떼게 된다. 이렇게 되면 집하시설 운영비를 전액 연수구가 부담해야 한다. 연간 운영비 60억원 중 인천경제청이 45억원, 연수구가 15억원을 부담하고 있다. 구는 재협약을 통해 인천경제청이 집하시설을 현행대로 소유하고, 운영비 지원을 계속할 것을 요구한다.

집하시설 관로 노후화로 고장이 잦고 쓰레기 적체현상도 나타나 시설교체가 시급하지만 이 문제 또한 간단치 않다. 집하장 1개당 교체비용이 200억원에 달하지만 연수구로서는 비용을 감당할 재정적 여력이 없다. 구는 인천시와 인천경제청이 이 문제를 함께 논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인천경제청은 재협약을 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쉽게 말해 연수구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근저에는 폐기물 처리문제는 지방자치단체 고유사무라는 인식이 자리잡고 있다. 출구가 안 보이는 상황이다. 송도 주민은 주민들대로 이견의 연속이고, 연수구와 인천경제청은 주장의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이를 조정할 주체는 인천시밖에 없다. 인천시가 조율에 적극 나서 대타협의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 광역자치단체라는 타이틀은 괜히 부여된 것이 아니다. 위상에 걸맞은 역할이 뒤따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