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용역을 전문기관에 발주해 그 연구 결과를 가지고 인천광역시, 옹진군, 시민단체, 덕적 자월 주민들과 ㈜S공영 관계자가 함께 모여 서로 공생할 수 있는 묘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 선갑도 항공사진.
▲ 선갑도 항공사진.

 


덕적군도에 위치한 선갑도는 1970년까지 승봉도 주민 35명이 공동 소유하다가 1992년 정부가 핵폐기물 후보지로 검토하면서 과학기술부 관련인사가 매입했으나 그 추진이 어렵게 되자. 1996년 한국해양연구원에 매각했고 2007년 ㈜S공영에서 매입해 현재 개인 소유의 섬이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무인섬인 선갑도에 갈 수 있는 방법은 인천항에서 덕적도 행 쾌속선을 타고 덕적도 도우선착장에서 어선을 별도로 섭외해서 갈 수 밖에 없다. 선갑도 서쪽해안에 있는 간이선착장에 들어선 순간 화산 분화구처럼 보이는 커다란 C자형 해안지형을 보고 적지 않게 놀랄 것이다.

선갑도의 만 주변에 노출된 암석을 자세히 살펴보면 지금으로부터 약 1억년 전의 화산재와 화산력이 퇴적되어 형성된 응회암으로 구성되어 있고 해안가 해식절벽에는 4각형이나 5각형 단면을 가진 기둥모양의 주상절리가 발달되어 있다. 선갑도의 주상절리는 제주도 지삿개 해안, 철원과 연천의 한탄강 주변 지역의 현무암에 발달된 주상절리와 달리 응회암에 발달되어 있다.

2019년 말 자월면과 덕적면 주민 294명은 선갑도 소유주 ㈜S공영이 양식장 활성화를 위한 선박 접안시설을 설치하면서 생긴 골재로 방조제 폭을 넓히는 등의 불법 산림훼손과 공유수면 불법점용으로 고발했고 또한 인천시장에게 선갑도를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해 줄 것을 청원했다.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첫째, 자연 상태가 원시성을 유지하고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보전 및 학술적 연구가치가 큰 지역 둘째, 지형 또는 지질이 특이하여 학술적 연구 또는 자연자원을 유지하기 위해 보전이 필요한 지역 셋째, 다양한 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지역 또는 생태계의 표본 지역이어야 하는 조건이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의 선갑도에 대한 연구 보고서를 살펴보면 1960년 '덕적군도 학술보고서(석주명 단장)'와 2007년 인천광역시'인천연안도서해양환경 조사 및 보존관리 계획'과 섬 소유주인 ㈜ S공영이 연구용역을 발주해 작성된 연구보고서가 있을 뿐 선갑도에 대한 전반적이고 장기간에 걸쳐 연구한 보고서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선갑도는 경기만의 중심에 있고 빼어난 경관을 자랑할 뿐 아니라, 망구할매의 설화가 깃든 인천의 바다와 섬의 혼이며 주상절리와 C자형 호상해안 등 지질경관과 자연경관이 빼어날 뿐 아니라 멸종위기종 야생동물(구렁이, 매 등)이 서식하고 희귀식물(가침박달, 쇠뿔서기, 멱쇠채 등)과 해양수산부 지정 보호대상 해양생물(거머리말, 새우말)이 서식하고 있어 보존해야 한다는 자월·덕적면 주민 및 시민단체의 주장과 회사에서 발주한 연구용역 보고를 기반으로 보전가치가 없어 개발해야 한다는 ㈜S공영의 주장이 팽팽히 대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선갑도에 대한 전반적(지질, 동물, 식물, 생태)이고 장기간(4계절 이상의 식생 및 생태조사 등)에 걸친 연구용역을 전문기관에 발주해 그 연구 결과를 가지고 인천광역시, 옹진군, 시민단체, 덕적 자월 주민들과 ㈜S공영 관계자가 함께 모여 서로 공생할 수 있는 묘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김기룡 인천섬유산연구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