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로 많은 것이 재조명된다. 국가 방역체계 개선에서부터 감염병에 대한 국민수칙에 이르기까지 크고작은 문제가 망라되고 있다. 그만큼 이렇다할 치료제도 없고 전파력이 강한 감염병에 심각할 정도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는 얘기다. 우선 '급한 불부터 끄자'는 발상은 전혀 도움을 주지 못하고,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데 방점이 찍힌다. 외국에서 유입되는 감영병을 이젠 '상시화'할 필요성이 높다는 전제 아래 갖가지 방안을 모색해야 할 때다.

이런 긴박한 상황에서도 경기도는 예외인 듯하다. '감염병 전문병원 유치'에 제동이 걸린 탓이다. 정부의 체계적 지원에서 배제됐다. 과거 정부가 이와 관련한 계획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경기도와 서울시가 동일한 권역으로 묶인 게 원인이다. 이런 상태로 방치된다면 도민들의 불안감은 커질 수밖에 없다. 도는 지역 감염병 대처 강화와 공공의료체계 확대 등을 목표로 감염병 전문병원 유치를 원하지만, 그 결과는 '희망사항'에 그치고 있다.

감염병 전문병원은 일반환자와 중환자 격리병상, 수술실, 검사실 등을 갖추게 된다. 감염진단·치료와 함께 지역 전체의 관계 인력을 교육하는 역할도 맡는다. 메르스가 발생한 2015년 환자 수용 부족 등으로 급부상했지만, 코로나19가 일어나면서 감염병 전문병원 문제를 다시 거론한다. 선제적 대응 차원에서다.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선 초동단계에서 신속하게 격리치료를 해야 마땅하다. 그래서 경기도 규모에 맞는 감염병 전문병원 유치가 시급해졌다. 하지만 정부 방침이 이를 가로막는다. 질병관리본부는 2017년 '국가방역체계 개편' 일환으로 지역 최초의 감염병 전문병원 확충에 나섰으나, 경기도는 아예 빠졌다. 호남·충청·영남 3개 권역만 해당됐다. 수도권은 서울의 국립중앙의료원 지원을 받으면 된다는 이유였다.

감염병을 체계적으로 관리·방역하려면 전문병원은 필수적이다. 물론 도 자체 시스템으로 대응을 할 수 있지만,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해외 감염병에 제대로 대처하기 위한 방안을 찾아야 한다. 지금처럼 정부가 지정·지원을 모두 맡기엔 역부족이다. 그런 과제를 기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경기도만의 특화한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