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공모서 배제·유치 희망…정부 지정 권한에 자체 설립 불가능

경기도가 '감염병 전문병원 유치' 등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에서 배제된 사안이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재조명되고 있다.

과거 정부가 이와 관련한 계획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경기도와 서울이 동일한 권역으로 묶인 채 방치된 것이 원인이다.

18일 도에 따르면 도는 최근 지역 감염병 대처 강화, 공공의료체계 확대 등을 목표로 감염병 전문병원 유치를 희망하고 있다.

이 시설은 감염병 대응에 특화된다. 일반환자와 중환자 격리병상, 수술실, 검사실 등을 갖춘다. 감염진단·치료는 물론, 지역 전체의 관계 인력을 교육하는 역할도 있다.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MERS)가 발생한 2015년, 환자 수용 부족 등으로 급부상했다.

도는 코로나19라는 감염병이 다시 발생하자, 선제적 대응 차원으로 이 사안에 재차 접근하고 있다.

앞서 2018년 5월 이재명 도지사는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감염병은 확산을 막기 위해 초동단계에서 신속하게 격리치료 해야 한다"며 "경기도 규모에 맞게 감염병 전문병원을 유치하겠다"는 내용을 약속했다.

하지만 정부의 오래된 방침이 도 추진에 제동을 걸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2017년 '국가방역체계 개편' 일환으로 지역 최초 감염병 전문병원 확충에 나선 바 있다.

당시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공모하는 방식이 추진됐으나, 경기도는 아예 빠졌다. 호남과 충청, 영남 3개 권역만 해당됐다.

수도권(서울, 경기, 강원지역)은 서울의 중앙감염병전문병원(국립중앙의료원)의 지원을 받으면 된다는 취지였다. 또 연구보고서의 지정 우선순위에도 경기도는 없었다.

그러나 국립중앙의료원도 시설 부족과 노후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03년 시작된 신축이전 사업도 주민반대 등으로 지연을 거듭했다.

결국 도는 '체계적인 관리'와 '감염병 전문병원 유치' 두 가지 모두에서 배제된 모양이 됐다.
현재 도내 입원치료가 가능한 병상은 국가지정 28개와 도의료원 20개가 가동되고 있는데, 인구 등을 감안해 더욱 많은 시설이 요구된다.

감염병 전문병원 관련, 연구용역 책임을 맡았던 이석구 충남대학교 교수도 "예산이 한정된 문제와 중앙의료체계가 강화된다는 전제 하에 경기도가 빠졌을 뿐이다"며 설립 필요성을 제기했다.

도 관계자는 "지금도 자체 시스템으로 감염병에 특화 대응할 수 있지만, 시설 부족 등 근본적인 문제는 전문병원 설립이 해답일 수 있다"며 "정부가 지정, 지원 모두 맡고 있어 자체적으로 하는 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김현우 기자 kimhw@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