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오염 주범으로 꼽히는 미세플라스틱 제거 방안을 수립하려면 학계와 행정기관, 민간이 힘을 모아 체계적인 조사를 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인천녹색연합은 13일 논평을 내고 "인천 앞바다 해양 미세플라스틱의 정확한 기원을 확인하기 위해선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조사가 필요하다"며 "인천시는 학·관·민 합동조사연구를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근 인천보건환경연구원은 인천 연안 미세플라스틱 현황을 조사해 발표한 바 있다.
연구원이 지난해 3월부터 같은 해 8월까지 인천 앞바다 5개 지점에서 '미세플라스틱 연평균 풍부도'를 조사한 결과, 한강 담수와 가까울수록 미세플라스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어도 해역과 영종대교 해역, 인천신항 해역, 자월도 해역, 덕적도 해역 순으로 풍부도가 높았다.
한강 담수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세어도와 영종대교 해역에서는 다른 조사 지점보다 단열재·스티로폼·포장지 등으로 쓰이는 폴리스타이렌과 섬유 소재인 폴리에스터 성분이 많이 발견됐다.

그러나 이번 조사 결과를 인천 앞바다 미세플라스틱의 주요 기원이 육상임을 보여주는 결과로 단정하기는 이르다는 게 환경단체의 설명이다. 풍화작용과 파도에 의한 마모, 자외선 방사 노출 쪼개짐 외에도 세제, 화장품 등에 활용되는 직접적인 미세플라스틱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단체는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미세플라스틱을 모니터링하고 하수처리 과정에서 미세플라스틱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며 "조사 지점·위치와 시기, 조사 방법, 물 때 등을 감안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아진 기자 atoz@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