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유발사업장 수두룩 … 손쓰지 않을 땐 피해는 시민 몫

 


악취관리지역 결국 걸림돌 가능성 커
주변 환경피해 근거 법적다툼도 꿈틀





검단 서북부는 인천서 마지막 남은 개발지다.

벌써 서구 오류·왕길·대곡·금곡동 일대에 민간과 공공기관의 각종 개발계획이 숱하다. 대충 손꼽아도 도시개발사업은 19곳에 1072만8000㎡에 이른다.

산업단지와 물류단지 조성사업은 7곳에 635만5000㎡에 달한다. 여기에 민간공원 특례사업까지 더하면 청라국제도시 규모(1781만㎡)와 맞먹는다.

이런저런 개발계획이 쏟아지고 있지만 진행속도는 더디다. 주변 환경이 탓이다.

수도권매립지를 시작으로 검단산업단지, 건설폐기물중간처리단지, 무등록공장단지 등 오염유발사업장이 수두룩하다. 게다가 경기도 김포 양촌, 학운산업단지까지 악재로 작동하고 있다.

검단서북부의 열악한 환경성은 악취관리지역지정 실태에서도 읽을 수 있다. 인천에는 11군데의 악취관리지역이 있다.

남동구 남동산단(1054만5000㎡)과 폐수수탁업체가 몰린 서구 가좌·석남·원창동(917만1000㎡). 동구 화수동(27만3038㎡)과 송현동(32만9389㎡), 부평구 한국지엠 부평공장 일대(90만5988㎡), 사료와 목재업체가 있는 중구 북성동(63만8373㎡), 미추홀구 인천지방산단(57만6796㎡)과 인천기계산단(24만5421㎡) 등이다. ▶관련기사 3면

나머지 주물과 금속업체가 밀집한 서부지방산단(93만8000㎡)과 수도권매립지 일대 백석·오류동(1550만7248㎡), 아스콘과 주물 업체가 쏠린 검단산업단지(225만871㎡) 등이다. 이 3곳은 검단서북부 개발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 악취관리지역을 제대로 손쓰지 않을 때는 법적다툼뿐만 아니라 개발사업 자체가 발목 잡힐 개연성이 크다.

'주거지로 부적합' 판정이 내려진 왕길동 사월마을 주민들은 환경피해를 근거로 수도권매립지를 포함해 환경오염유발업체를 대상으로 손해배상 소송을 준비하고 있다.

검단중앙공원 민간특례시행자인 조합과 검단중앙공원개발㈜도 특례사업을 취소한 공동 시행자인 시를 상대로 지난 6일 취소처분취소 소송을 제기한데 이어 12일에는 직권남용으로 민·형사 소송을 제기했다.

북부권 종합발전계획이 중요한 이유다. 시는 경인아라뱃길 북쪽 지역(서구 검단·오류·왕길, 계양 상야동)의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12억5000만원을 들여 2021년 3월 완료를 목표로 북부권 종합발전계획수립 용역 중이다.

/박정환 기자 hi21@incheonilbo.com



관련기사
[검단서북부개발 이대론 안 된다] 도화 삼킨 '악취 갈등' 북부권도 위협 인천 북부권 종합발전계획이 어설펐다가는 자칫 미추홀구 도화구역 도시개발사업 꼴이 날 수도 있다. 인천도시공사는 전국 최초의 뉴스테이 사업으로 2018년 도화구역(88만1990㎡)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 조성했다. 한 아파트 단지에 입주한 주민들은 곧바로 악취 민원을 제기했다. 단지는 도로와 녹지 사이를 두고 악취관리지역인 인천 지방산업단지와 기계산업단지와 붙어있다. 악취배출업소는 지방산단에 28곳, 기계산단은 10곳이 있었다.인천시와 도시공사, 미추홀구는 악취 민원이 빗발치자 산단 내 입주업체를 대상으로 대기오염물질 배출실태 조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