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마지막 도시 개발이 될 검단 서북부 개발 사업이 휘청거리는 모습이다. 그간 장기적인 마스터 플랜 없이 난개발 상태가 오래 방치된 때문이다. 바로 인근의 수도권매립지는 물론 각종 폐기물 처리 시설이 뒤섞여 도시개발을 위한 기본적인 환경 수준에도 못미치기 때문이다. 이 곳 민간공원특례사업마저도 환경영향평가를 넘지 못하자 인천시는 다시 재정사업 개발로 방향을 틀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 역시 공원일몰제 시한이 임박한 데다 막대한 재정부담이 필요해 산넘어 산이다. 이제라도 원점에서부터 검단 서북부 개발 전략을 마련할 때다.

인천시는 검단 서북부 지역에서 검단16호공원과 검단중앙공원 2곳에서 민간공원 특례사업을 추진해 왔다. 시의 재정부담을 덜면서 난개발 상태를 정비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2개 특례사업에 대한 한강유역환경청의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 결과는 달랐다.

인천시와 협약을 맺은 검단16호공원(891세대)은 두 차례 보완 끝에 조건부 동의로 협의를 마쳤다. 아파트 층수(당초 17~32층)를 낮추고 완충녹지를 더 넓히는 조건이었다.

그러나 개발 규모가 2배 가까이 더 큰 검단중앙공원(1677세대)은 1차 보완검토에서 '부동의'가 떨어졌다. 한남정맥 축을 건드릴 수 있는 민간특례사업을 재검토하라는 의미였다. 검단중앙공원 개발이 환경영향평가를 넘지 못한 것은 주변 지역의 난개발로 대기 질 등 주거여건을 충족하지 못해서다. 3㎞ 반경내에 수도권매립지 제2매립장(378만㎡)과 검단산업단지(900여 업체 입주)가 있다. 또 폐기물처리업체 19곳과 145만여t의 순환골재, 52만㎡에 이르는 폐기물 무단 적치장도 인근에 있다.

이에 인천시는 검단중앙공원을 100% 재정사업으로 추진하는 절차에 들어갔다. 그러나 이 곳 조합원을 포함한 땅 주인 240여명은 크게 반발하고 있다. 그간에 들인 사업 추진 비용만도 최소 100억원 이상이라고 한다. 재정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토지 매입부터가 난관에 부닥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중앙공원 사업은 검단 서북부 개발의 극히 일부분이다. 청라국제도시 규모에 버금가는 검단 서북부 개발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이제라도 종합적인 마스터플랜은 물론, 각 지구단위별 핀셋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