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물질 정화기회, 유해물질로 발목

 

 

 

 

 

 

인천 서구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매끄럽지 않다. 수도권매립지 주변을 중심으로 수십 년 동안 쌓인 환경문제로 발목이 잡혔다. 마구 들어선 공장의 오염물질로 '주거 부적합' 판정이 내려진 왕길동 사월마을이 그 예다. 그 불똥은 이미 주변 민간공원 특례사업으로 튀었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불길은 검단 서북부로 번질 조짐이다. 검단서 벌어졌거나 벌어질 도시개발과 산업단지조성 사업 등 시가화예정용지는 26곳 1708만3000㎡에 이른다. 얼추 청라국제도시 크기다. 인천일보는 민간공원 특례사업을 축으로 검단 서북부 개발사업 현안을 짚어본다.

 

▲ 인천 서구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매끄럽지 않다. 수도권매립지 주변을 중심으로 수십 년 동안 쌓인 환경문제로 발목이 잡혔다. 사진은 민간공원 특례사업 예정지인 검단16호공원(오른쪽·서구 오류동 산 58 일대 13만7800㎡)지과 검단중앙공원(왼쪽·서구 왕길동 산 4-1일대 60만5733㎡) 일대 전경. /양진수 기자 photosmith@incheonilbo.com

 


주변 수도권매립지·산단 위치
수십년간 악취·폐기물 노출돼
일부사업 환경영향평가 '퇴짜'



'인근 수도권매립지와 산업단지로 악취와 유해물질 노출이 우려되는 바…' 민간공원 특례사업인 검단16호공원(서구 오류동 산 58 일대 13만7800㎡)과 검단중앙공원(서구 왕길동 산 4-1일대 60만5733㎡)의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과정에서 나온 의견의 일부 내용이다.

검단16호공원은 수도권매립지 제2매립장(378만㎡)와 검단산업단지(224만㎡· 900여 업체 입주)경계지점에서 1.7㎞ 떨어졌다. 검단중앙공원은 3㎞ 거리를 두고 있다.

가깝고 먼 차이가 있지만 2곳의 특례사업 터 사이에는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업체와 폐기물처리업체 19군데가 버티고 있다.

36만㎡ 터에 145만여t의 순환골재가 쌓여있다. 그 밖 무단 적치면적도 52만㎡에 달한다.

역시 특례사업 중간에 위치한 사월마을(52세대 122명) 주변으로는 제조업 등 사업장 165곳(미등록업체 116곳, 등록업체 49곳)이 있다.

사월마을은 대기중 미세먼지와 중금속 농도가 인천 평균보다 최고 2배 높은 것으로 측정됐다.

지난달 말 두 특례사업에 대한 한강유역환경청의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결과는 달랐다.

인천시와 협약을 맺은 검단16호공원(891세대)은 2차보완 끝에 조건부 동의로 협의를 마쳤다. 아파트 층수(당초 17~32층)를 낮추고 완충녹지를 더 넓히는 조건이었다.

검단중앙공원(1677세대)은 1차보완 검토에서 '부동의'가 떨어졌다. 한남정맥 축을 건드릴 수 있는 민간특례사업을 재검토하라는 의미였다. ▶ 관련기사 3면

시는 지난 검단중앙공원을 100%공원으로 조성하는 재정사업으로 추진키로 하고 지난 6일 주민 공람공고에 들어갔다.

/박정환 기자 hi21@incheonilbo.com

 



관련기사
[검단서북부개발 이대론 안 된다] 검단중앙공원 재정사업화 '산 넘어 산' 검단중앙공원 민간특례사업 제안자인 조합과 검단중앙공원개발㈜는 지난 6일 인천시를 상대로 개발행위특례사업제안수용취소처분취소가처분을 인천법원에 신청했다. 검단중앙공원 민간특례사업을 취소하고 재정사업으로 돌린 시의 결정에 대한 방어 차원이었다.같은 날 시도 장기미집행시설인 검단중앙공원을 재정사업으로 조성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도시관리계획(공원)결정변경조서 공람공고에 들어갔다. 지난달 29일 검단중앙공원 전략환경영향평가에 대한 한강유역환경청의 '부동의' 결정에 이어 지난 3일 시의 검단중앙공원 민간특례사업제안 취소에 대한 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