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유행 땐 방역물품 예측
비축량 확대 계획뿐 조치 없어
의료기관도 부족·지원 발동동
▲ 2015년도 메르스로 인해 마스크등 방역물품 품귀 현상으로 도 광역방재 거점센터(재난 대비물자 보관창고)를 지난 2018년 5월부터 운영하고 있지만 비축 물품이 지진방재 물품 중심으로 구성되고 있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방역에 대한 대처가 미흡한 것으로 지적받고 있다.광주시 곤지암읍에 위치한 동부권 방재센터(왼쪽),유압장비·호스등이 보관된 비축 창고내부 모습. /김철빈 기자·경기도 제공 narodo@incheonilbo.com

정부가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이후 감염병이 유행하면 '마스크'가 절대적으로 부족할 것으로 예측하고도 5년 동안 허송세월한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는 메르스 사태 당시 '마스크' 등이 품귀현상으로 제때 조달하지 못하는 것을 체감하면서 방역물품 비축량을 대폭 늘리기로 했지만 후속조치를 하지 않았다.

10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정부는 메르스 사태 이후 공공기관 등에 마스크를 비롯해 방역물품 비축량을 대폭 늘리기로 했다.

감염병이 유행하면 가격폭등과 품귀현상으로 정부는 물론 각 공공기관, 학교나 병원에서 마스크를 수급하는데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내용은 정부가 메르스 초기 대응 실패를 교훈으로 삼고자 발간한' 메르스 백서'에도 실려 있다.

하지만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정부대응은 준비부족으로 메르스 사태와 같은 문제를 반복하고 있다.

당장 의료기관에서 사용할 마스크조차 부족한 현상이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대한의사협회 관계자는 "병원은 환자가 가장 먼저 찾는 기관이기에 마스크 사용량이 다른 기관에 비해 많다"며 "여러 병원에서 보유한 마스크가 떨어져 구매가 시급하지만 이미 동나 방도가 없다. 정부 지원을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정부가 이렇다 보니 경기도와 경기도교육청 등도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도교육청은 2016년 이후 각 학교에 마스크 등 필수 방역물품을 비축하기로 했으나 예산을 지원받지 못해 확보하지 못했다. 도내 각 학교별 마스크 등 방역물품 비축 현황에 대한 자료도 없다. 각 학교들은 스스로 자체 운영비로 마스크 등을 구매해 사용한 것이 전부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3월 개학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학교 내에 마스크 보유현황을 확인하고 있다"며 "앞으로 예산을 편성해 마스크를 구매를 돕겠다"고 말했다.

경기도도 미흡하긴 마찬가지다.

도는 2018년부터 광주시에 '광역방재거점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 센터 규모는 2400㎡로 125품목 17만점의 각종 방재 장비를 비축하고 있다. 문제는 지진과 화재 등에 초점이 맞춰지다 보니 감염병 예방을 위한 의료용 마스크(N90 이상)는 단 한 장도 없다.

경기도 관계자는 "포항지진과 같은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방재센터를 만들었다"며 "마스크 등 방역 물품은 없다. 현재 마스크 재고 확보를 통해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경훈 기자 littli18@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