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공공의료 기능을 담당하는 곳의 상황이 열악하다. 우선 동구에 있는 인천의료원은 환자 수 급감과 전문 의료진 부족으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 병원은 간호사 수급을 제대로 못해 병실을 비워둬야 하는 처지다.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등으로 전국적으로 간호인력이 부족한 데다 민간 병원에 비해 낮은 처우 때문이라고 한다. 연수구의 인천적십자병원 상태도 심각하다. 간호사 구인난에 재정난까지 겹쳐 중환자실 문을 닫은데 이어 지난해 11월엔 응급실마저 운영을 중단했다.

인천의료원 외래 환자 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 전이던 지난달 5일부터 19일까지 하루 평균 415명이었다. 하나 병원에 격리됐던 중국인 관광객이 국내 첫 신종 코로나 확진자로 바뀐 20일부터 하루 평균 384명으로 줄었다. 이뿐만 아니라 입원 환자들마저 떠나갔다. 같은 기간 201명이었던 입원환자 수는 20일 이후 159명으로 줄어들었다. 신종 코로나 감염증 확진자는 완치돼 퇴원했지만, 일반 환자들은 병원 측을 못 미더워한다. 인천의료원의 경우 감염내과 전문의는 1명에 불과한 데다 간호사는 정원에도 미치지 못한다. 인구 300만명을 넘긴 인천시인데도 종합병원급 공공병원은 인천의료원뿐으로, 시민들에게 공공의료 서비스를 제때 제공하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는다. 인천의료원의 인력 충원이 아주 시급하다.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가 진정된다고 해도, 앞으로 몇년마다 국제적 감염병 위기는 계속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공공의료 전반을 아우르는 정책이 중요하다는 분석이다. 그 중심에 인천의료원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특히 인천은 국제공항과 항만을 끼고 있어 감염병 분야 공공의료 기능을 더 강화해야 한다. 그런가 하면 인구·접근성 등을 고려할 때 제2인천의료원 건립을 서둘러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만날 '300만 인구'를 자랑만 하면 뭐하나. 시민들의 의료·건강을 책임지겠다는 자세가 몹시 필요하다. 앞으로 인천의료원은 취약계층뿐만 아니라 전체 시민을 감당해야 한다. 그래야 공공의료를 위해 세웠다는 취지에도 맞고, 그 역할을 충실히 해나가게 된다. 인천시도 공공의료 전담 조직을 신설해 정책 보강에 만전을 기했으면 싶다.